•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작의 『안락집』에 제시된 두 가지 주장에 대한 후대의 관점 -『유심안락도』・순지・요세・나옹・경허를 중심으로 (A Perspectives of Later Generations on the Two Arguments Presented in Daochuo's Paradise Collection: Focused on Yusimanlakdo, Sunji, Yose, Naong, Gyeongheo)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2.08
34P 미리보기
도작의 『안락집』에 제시된 두 가지 주장에 대한 후대의 관점 -『유심안락도』・순지・요세・나옹・경허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71호 / 1 ~ 34페이지
    · 저자명 : 이병욱

    초록

    이 글에서는 도작의 『안락집』에서 제시된 두 가지 주장을 소개하고, 그 주장에 대한 후대의 관점을 살펴본다. 첫째, 도작의 『안락집』에서는 도솔천에 태어남과 서방 극락정토에 태어남을 회통한다고 하였는데, 실제로는 서방 극락정토에 태어남이 도솔천에 태어남보다 뛰어나다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답변한 것이 『유심안락도』와 『경허집』이다. 『유심안락도』에서는 사람의 성품에 따라서 도솔천에 태어남이 쉬울 수 있고, 서방 극락정토에 태어남이 쉬울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경허집』에서는 이처럼 견해 차이가 생기게 된 것은 경전과 논서에서 중생을 인도하기 위해서 방편을 활용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니 어느 견해를 고집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둘째, 도작의 『안락집』에서는 서로 충돌하는 견해를 제시한다. 도작은 공사상에 근거한 정토사상과 유심정토(唯心淨土)를 제시한다. 이것은 상근기 수행자는 유심정토에 들어가고, 중근기와 하근기 수행자는 유심정토의 의미를 알지 못하고 모습의 정토[相土]에 들어가는 것으로 이어진다. 그런데 도작은 하품(下品)의 중생, 곧 중근기와 하근기 수행자도 유심정토의 의미를 모르더라도 염불 수행을 통해 무생(無生)의 이치를 깨달을 수 있다고 한다. 이 지점에서 도작의 주장은 충돌된다. 이러한 도작의 주장에 대해 순지는 공사상에 의거한 정토사상과 유심정토를 수용하고, 원묘국사 요세는 유심정토를 제시한다. 그에 비해 나옹혜근은 염불수행을 통해 깨달음의 세계에 도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도작의 서로 충돌하는 견해는 한쪽은 순지와 요세로 이어지고, 다른 한쪽은 나옹혜근으로 이어진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introduce two arguments presented in Daochuo(道綽)'s Paradise Collection(安樂集), and look at the perspectives of later generations about two arguments. First, in Daochuo's Paradise Collection, it is said to reconcile being born in tuṣita heaven and being born in the western paradise of pure land, but in fact, being born in the western paradise of pure land is superior to being born in tuṣita heaven. Yusimanlakdo(遊心安樂道) and Gyeongheojip(鏡虛集) have specifically answered these two arguments. In Yusimanlakdo, it can be easy to be born in tuṣita heaven, and it can be easy to be born in the western paradise of pure land, according to a person's personality. And in Gyeongheojip, it is said that this difference of opinion occurs because the scriptures and treatises use expedients to guide sentient beings. So, it is said that there is no need to stick to one view. Second, in Daochuo's Paradise Collection, a conflicting view are presented. Daochuo presents the pure land idea based on śūnyatā and citta-mātra pure land. This leads to the superior faculties entering citta-mātra pure land, and middling and lesser capacity entering the form of pure land without knowing the meaning of citta-mātra pure land. However, it is said that even the lower level of sentient being, that is, middling and lesser capacity, can realize the principle of non-living through remembrance of the buddha, even if they do not know the meaning of citta-mātra pure land. At this point, Daochuo's argument is conflicted. In response to this claim of Daochuo, Sunji accepts the pure land idea based on śūnyatā and citta-mātra pure land, and Yose presents citta-mātra pure land. On the other hand, Naong claims that one can reach the world of enlightenment through remembrance of the buddha. In this way, Daochuo's conflicting views lead to Sunji and Yose on one side, and Naong on the other si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