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주화의 영화적 인식론: 한국 영화 <칠수와 만수>와 대만 소설 「두 페인트공」의 도시주의적 재배치 시도 (Cinematic Epistemology of Democratization - An attempted Re-position of the Korean film Chilsu and Mansu and the Taiwanese novel Two Painters as Approach to the Urbanism -)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4.02
42P 미리보기
민주화의 영화적 인식론: 한국 영화 &lt;칠수와 만수&gt;와 대만 소설 「두 페인트공」의 도시주의적 재배치 시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어문학 / 92호 / 239 ~ 280페이지
    · 저자명 : 윤재민

    초록

    이 글은 전후 한국과 대만의 민주화을 재인식하는 작업이 지속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 의거하여, 황춘밍의 「두 페인트공」과 영화 <칠수와 만수>로 이어지는 매체 월경의 문화번역을 도시주의적 접근으로 재배치하는 시도이다.
    영화 <칠수와 만수>는 1970년대 대만 향토문학 「두 페인트공」에 재현된 자본에 침윤된 도시 과밀화 과정과 이를 구성하는 뜨내기 노동자의 존재를 1980년대 말엽 서울이라는 구체적인 풍경에서 보다 선명하게 가시화한다. 영화가 포착하는 서울의 풍경은 급진적인 과밀화에 따른 섬망 상태의 헤테로토피아다. 뜨내기 노동자 칠수와 만수는 도시의 표면을 이동하며 번영과 풍요 그리고 제도적 민주화의 장소인 도시를 구성하는 행위자임과 동시에, 그로부터 소외된 존재들이다. 자본은 도시인으로서 그들의 분열증적 욕망을 동원하여, 도시 표면을 척도 없이 이동하며 살게 한다. 뿌리내리기가 허락되지 않는 도시적 존재의 삶과 욕망은 주류 혹은 정상성의 시공간과 괴리하는 이질적인 표면을 잠시 점유하는 양상으로 가시화된다. 그들의 움직임은 자본과 결탁한 치안의 시점에서 주류적 풍경을 교란하는 자격 없는 존재들의 이질적인 흐름으로서 배제된다. <칠수와 만수>의 서사와 일련의 풍경-이미지는 「두 페인트공」의 핵심 모티프에서 추출한 것인데, 이는 냉전기 한국과 대만 공통의 사상적 지평으로서 역내 민주주의와 관련된 일련의 원초적인 무빙-이미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written in response to the ongoing need to re-recognize the postwar democratization of South Korea and Taiwan. To this end, the cultural translation of the media menstruation leading to Hwang Chunming's Two Painters and Park Gwangsu's film Chilsu and Mansu is to be re-position for the approach to the urbanism.
    The film Chilsu and Mansu makes the process of capital-infiltrated urban overcrowding and the presence of floating workers that constitute it, which is represented in the 1970s Taiwanese vernacular literature Two Painters, more clearly visible in the specific landscape of Seoul that the film captures is a heterotopia in a state of delirium following radical density in the late 1980s. As the day labors, Chilsu and Mansu, are both urban beings who move across the surface of the city, a place of prosperity, affluence, and institutional democratization, but also alienated from it. Capital mobilizes their schizophrenic desires as the urban beings, forcing them to move and live on the surface of the urban places without measure. Urban life and desires that are not allowed to take root are visualized as forms that temporarily occupy a surface that is alien to the time and space of mainstream or normalcy; It is excluded because it is a heterogeneous movement of unqualified beings disrupting the mainstream landscape at the point of police in collusion with capital. The narrative and a series of landscape-images of Chilsu and Mansu are extracted from the core motifs of Hwang Chunming's Two Paintrs. It is the primitive moving-image of democracy in the region, a common perspective between Korea and Taiwan in Cold War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