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독교비평서에 나타난 한국교회 진단과 대안 - 종교문화 비평에 비친 교회성장의 두 얼굴 - (Contemporary Situation of Korean Chuch in Review of Critical Books - Dual Perspective of Church Growth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1.05
29P 미리보기
기독교비평서에 나타난 한국교회 진단과 대안 - 종교문화 비평에 비친 교회성장의 두 얼굴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27호 / 461 ~ 489페이지
    · 저자명 : 추태화

    초록

    교회는 진리 되신 예수 그리스도를 교회의 머리로 하여 세워지므로 세상 가운데서 진리와 빛의 역할을 충실히 해왔다. 교회는 성경적일 때 본질상 스스로를 개혁하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생명적 역동성을 추구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교회가 그 본질을 잃으면서 세상을 어지럽히고 지탄받는 위기에 떨어지기도 했다. 세계교회사는 교회의 이런 양면적 모습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그러면 21세기 한국 교회는 어떤 모습일까. 현대 한국 교회는 그야말로 근본적인 부분에서 위기에 봉착해있다고 입을 모은다. 개화기 때부터 한국 사회의 계몽, 개혁과 성장, 민주주의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한국 교회가 어떻게 해서 사회의 걱정거리가 되는 자리에 이르게 되었는가. 나라와 민족을 겸손히 섬겨오면서 백성들의 칭송을 받은 한국 교회가 어떻게 안티 그룹과 신앙인들로부터 무례하고 오만한 기독교라는 비판을 받게 되었는가. 그렇게 된 과정과 원인을 기독교비평서에서 찾아보며 회복과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한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4 권의 저술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 책들은 종교문화저술로 분류되는데, 구체적으로 표현하자면 기독교비평서라 할 수 있다. 저자들은 기독교인으로서 목사, 교육자, 전문집필가의 직함을 가지고 있으므로 기독교에 대한 단순한 인상비평을 넘어서 전문가적 안목이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저술 시기도 2000년대 후반으로 현대 한국기독교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동시대성도 갖고 있다.
    연구대상인 4 권은 다음과 같다: 이상성(2007). 『추락하는 한국 교회. 교회의 미래는 한국의 미래다』. 황규학(2008). 『한국 교회, 상식이 운다』. 김두식(2010). 『교회 속의 세상, 세상 속의 교회』. 백종국(2010). 『바벨론에 사로잡힌 교회』.
    1980년대 이후 한국 교회 상황은 실로 비관적이라 할 수 있다. 여러 측면에서 언급할 수 있는데 그 중 몇 가지 요인을 손꼽는다면, 성장후퇴론, 게토론, 그리고 안티기독교 세력의 등장이다. 이들은 포스트모더니즘과 미디어 확산의 영향 아래서 급속하게 기독교를 위협하는 요소가 되었다. 이 요인들은 기독교 안팍에서 다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독교비평서를 통해 살펴본 한국 교회는 4가지 측면에서 분석되고 있다. 신학적 측면, 교회론적 측면, 목회학적 측면, 교회성장학적 측면이 그것이다. 각 저서는 문제제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진단에 대한 나름대로의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점은 한국 교회의 회복과 부흥을 위해 심각하게 고려해야할 부분이다. 예를 들면 한국 교회는 사회윤리를 회복하고, 교회 정치 구조를 개혁해야 하며, 권위적인 교권주의를 탈피해야 하며, 개교회성장주의를 극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 교회가 현재 위기상황에 처해있다는 현실을 감안할 때, 기독교비평서는 미래 교회의 부흥을 위한 제안서 역할을 하고 있다. 루터, 쯔빙글리, 칼빈과 같은 종교개혁가들이 성경을 중심하여 교회와 사회를 개혁해 나갔듯이, 21세기 한국 교회도 그러한 개혁을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 교회의 교회다움은 이 땅에 하나님 나라를 이루어가는 데 가장 기본적인 조건임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영어초록

    Church is based on the faith of Jesus Christ who is the head of church. And in the world appears church as truth and light. According to its essence church takes vitality and dynamics of reforming society and church itself. While church lost its essential status, it became troublemaker and disorder. The World Church History shows us dualistic faces of church undoubted.
    Now we ask, how is the Korean church in 21st century? Contemporary critics appoint that it is sinking into crisis. From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Korean church has exellent functions for the korean society; for example motivator of social reform and grouth, leader of liberation and modern mind, but now, how Korean church has got anxiety from christian and pagan citizen. How can explain and diagnose in which way Korean church goes down? We will try to get any answer from some critical books on Korean church, and we are looking for method and solution for restoration.
    In oder to solve this questions deeply we have chosen 4 books. This belong to the section of religious culture, concretely to say critical review of korean christianity. The autors are pastor, higher educator, special writer, and they used any aspect of expert overcoming a simple analysis. The writing period meet together in the latter half of Two tausend year, so that we can better recognize situation of contemporary christianity in korea 4 books that are materials for our research were selected as followed: Sang-Sung Lee(2007), Falling Korean Church. The Future of Church is the future of Korea. Kyu-Hak Hwang(2008), The common sense, crying for Korean Church. Du-Sik Kim(2010), The world in the church, the church in the world. Jong-Guk Back(2010), The church captivated by Babylon.
    The situation of korean church after 1980 is very skeptic. We can find many factors; some to call are declination of church growth, ghetto-phenomenon and rising of anti-christianity group. These factors threat development of korean church under postmodernism and mass media which still effect inside and outside of korean church.
    The review of korean church that we have chosen for the research show four perspective: theological, ecclesiological, pastoral perspective and that of church growth. Each book try not to raise questiions but to give diagnosis. In this point korean church have to accept for restoration and revival. For example korean church have to practice social ethics, to reform the political structure of church, to reject the hierarchy in church system, and to renew extreme tendence of ego-centered church growth.
    Now we recognize the sign of crisis in korean church. Some parts of critical review on korean church will show the way for its future. As much as the reformator as Luther, Zwingli, and Calvin struggled to reform their society and church with the Bible, korean church are due to realize the spirit of Reformation. To be the church of the Bible is the best way for expansion of Kingdom of G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