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배우자 육아분담 만족과 결혼가치관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Spousal Sharing of Childcare and Marriage Values on Parenting Stress Among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5.02
10P 미리보기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배우자 육아분담 만족과 결혼가치관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통합의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통합의학회지 / 13권 / 1호 / 123 ~ 132페이지
    · 저자명 : 박지경, 김지온

    초록

    Purpose : Korea's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and the proportion of dual-income households are steadily increasing. In 2023, dual-income households with children aged 6 or younger exceeded 50 % for the first time, highlighting the growing childcare burden. Among dual-income couples, wives often experience high levels of fatigue from household chores and childcare, placing working mothers under the dual burden of workplace and parenting stress. This study examines how married working mothers' perceptions of marriage value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spouse's childcare sharing affect parenting stress, particularly for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Methods : Using raw data from the 2021 National Family and Fertility Survey, this study focused on a sample of 374 women from dual-income households with infant and toddler-aged childre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9.0 program.
    Results :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satisfaction with spousal sharing of childcare was 2.68 points, marital values ​were 2.61 points, and parenting stress was 3.41 point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in variables showed that parenting str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with spousal sharing of childcare and marital values. Third,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spousal sharing of childcare (β= -0.353) and marriage values (β= -0.134) had a negative effect on parenting stress, in that order.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at satisfaction with a spouse’s childcare sharing and marriage values are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among working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Reflecting these findings, a multifaceted and integrated approach is necessary to establish gender-equal parenting roles and foster positive marriage values. To achieve this, individuals, families, communities, the government, and workplaces must collaborate in a coordinated and organic manner.

    영어초록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parenting stress of married working mothers' perceptions of marriage value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spouse's sharing of childcare responsibilities, particularly among mothers with infant and toddler aged children.
    Methods : Using raw data from the 2021 National Family and Fertility Surve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a sample of 374 working mothers with early childhood, utilizing the SPSS 29.0 Program.
    Results :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spousal sharing of childcare (β=-.353) and marriage values (β=-.134) had a negative effect on parenting stress, in that order.
    Conclusion :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cial policies to establish appropriate marriage values and promote gender equality in parenting roles, which will allow equitable participation from both parents in child-rear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통합의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