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병자호란을 ‘이야기’하는 두 가지 방식―이긍익의 『연려실기술』과 박종화의 『대춘부』(1937)를 중심으로― (Two Modes of Narrating the Byeongja-Horan(丙子胡亂): Focusing on Lee Geung-ik(李肯翊)’s 『Yeollyeosilgisul(燃藜室記述)』and Park Jong-hwa(朴鐘和)’s 『Daechunbu(待春賦)』(1937))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4.12
38P 미리보기
병자호란을 ‘이야기’하는 두 가지 방식―이긍익의 『연려실기술』과 박종화의 『대춘부』(1937)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81권 / 81호 / 31 ~ 68페이지
    · 저자명 : 최진경

    초록

    이 글에서는 1636년 병자호란을 역사 서사 재구성의 관점에서 고찰하여, 이긍익의 『연려실기술』과 박종화의 『대춘부』에 나타난 서사적 특징과 그 의미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하나의 역사적 사건이 상이한 시대적 맥락과 서사 양식을 통해 어떻게 재해석되고 변용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려실기술』은 사료의 발췌와 재배치를 통해 병자호란의 온전한 재구성을 시도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최명길의 화친을 왕조 존속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해석한다. 최명길은 척화를 주장했던 김상헌과 함께 조선적 가치 수호자로 떠오르며 그를 주인공으로 위기와 해결, 갈등과 봉합이라는 서사 구조를 확립하였다. 『연려실기술』은 근대기 조선사 연구의 주요 원천 자료이자 1930년대 역사소설 창작의 원천 서사로 기능하며, 1937년 박종화의 『대춘부』를 통해 『연려실기술』표 병자호란 서사는 변개되어 재등장한다. 『대춘부』는 『『연려실기술』의 일화를 토대로 하되, 허구적 인물과 사건을 도입하여 각 사건의 인과성을 강화하거나, 인물의 심리적 독백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대중적 서사로 변모한다. 이때 임경업과 봉림대군이 새로운 영웅으로 등장한다는 점은 『대춘부』가 놓인 식민지 시대의 현실을 은유적으로 상징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시기 창작된 박종화의 역사 소설은 이후 사극 및 역사 콘텐츠의 원천 서사로 널리 이용되는 바, 『연려실기술』과 『대춘부』의 관계와 변용 양상은 근대 이후 역사 콘텐츠의 흐름과 경향을 짚어볼 수 있는 기준점이 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Byeongjahoran (丙子胡亂)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narrative reconstruction, comparing and analyzing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found in Yi Geung-ik(李肯翊)'s 『Yeollyeosilgisul(燃藜室記述)』 and Park Jong-hwa(朴鐘和)'s 『Daechunbu(待春賦)』. The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how a single historical event can be reinterpreted and transformed through different temporal contexts and narrative forms.
    Yeollyeosilgisul attempted to create a complete reconstruction of the Byeongjahoran through the extraction and rearrangement of historical sources, interpreting Choe Myeong-gil's advocacy for peace as an inevitable choice for dynastic preservation. Choe Myeong-gil emerges as a defender of Joseon values alongside Kim Sang-heon, who argued for resistance against the Qing, establishing a narrative structure of crisis and resolution, conflict and reconciliation.
    Yeollyeosilgisul served not only as a primary source for modern Korean historical research but also as a foundational narrative for historical novels in the 1930s. This narrative was transformed and reappeared in Park Jong-hwa's 1937 work, Daechunbu. While based on anecdotes from Yeollyeosilgisul, Daechunbu evolves into a popular narrative by introducing fictional characters and events to strengthen causality between incidents and incorporating psychological monologues of characters. The emergence of Im Gyeong-eop and Prince Bongrim as new heroic figures is particularly noteworthy, as it metaphorically symbolizes the colonial reality of the era in which Daechunbu was written.
    The relationship and transformation patterns between Yeollyeosilgisul and Daechunbu are significant as they serve as a reference point for understanding the flow and trends of historical content since the modern era, especially considering that Park Jong-hwa's historical novels later became widely used as source material for historical dramas and other historical cont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