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과학발견과 지식시각화 연구 -‘신감응력’과 ‘감각질’ 개념에 기반을 둔 과학-예술 혼성 관점에서- (A Study on Scientific Discovery and Knowledge Visualization: -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ce-art hybridization based on ‘neosentience’ and ‘qualia’-)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5.06
9P 미리보기
과학발견과 지식시각화 연구 -‘신감응력’과 ‘감각질’ 개념에 기반을 둔 과학-예술 혼성 관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6권 / 3호 / 121 ~ 129페이지
    · 저자명 : 김정한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발견에 있어 시각화가 지식형성의 측면에서 보조적인 수단이 아닌 필수적인 요소가 될 수 있는가하는 의문에 답하는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과학이 세계에 대한 구체적 관찰로부터 보편적 지식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시각화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그 역할을 수행했는지 살펴보고, 지식시각화 분야가 오늘날 과학연구에 있어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지 검토한다. 또한, 전형성과 개별성, 객관성과 주관성의 이분법적 관점을 극복할 수 있는 과학-예술의 혼성관점에서, ‘신-감응력’개념과 ‘감각질’개념을 중심으로 과학지식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지식시각화의 가능성에 대해 탐구할 것이다. 이를 위해,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의 지식 시각화의 전통을 살펴보고, 중세의 교육적 시각화와 르네상스의 고아한 시각화의 두 전통이 서로 다른 관점의 산물이 아닌 동일한 지식에 대한 시각화의 정도의 차이라는 점을 통해 이분법적 관점을 극복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할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관점이 발전된 형태로 구현된 레오나르도의 중복선 드로잉을 ‘창발’의 개념을 통해 분석한다. 실제 과학 발견에 있어 지식시각화가 과학지식의 보조적 수단이 아니라 실질적인 필수적 요소가 될 수 있는가하는 가설에 대해 생물학자 라이트, 도브잔스키, 심슨 등의 연구과정의 사례를 통해 검증한다. 이들의 생물학 연구에서 사용된 하향식 접근 방법론으로서의 수학과 상향식 접근 방법론으로서의 이미지 드로잉이 함께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사례를 근거로, 양자의 방법론이 혼합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신-감응론’개념과 ‘감각질’개념을 도입하여,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실재적 ‘관찰’과 관념으로서의 과학적 ‘이론’의 합일을 지향하는 지식시각화의 새로운 관점을 모색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전체적인 논의를 통해 도출된 과학-예술 혼성관점에서 중요하게 바라본 최근의 지식시각화 동향을 정리하고 미래과제를 제시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or answering to a question how knowledge visualization is necessary in scientific researches not subordinate. Through this paper, I will explore how knowledge visualization has played a participating role in the history of science forms the generic knowledge from the specific observations of the real objects, and investigate whether it could continue to play a practical role in forming contemporary scientific knowledge.In addition, the possibilities of new knowledge visualization from the hybrid perspective in Science -Art based on the concepts of ‘neo-sentience’ and ‘qualia’ will be explored in order to converge a dichotomy between the typical and the individual, the object and the subject, the view point of “they” and the view point of “I”. I will study on the tradition of knowledge visualization in the Middle Age and Renaissance, and infer the fact that two different traditions, the medieval didactic visualization and the Renaissance elegant visualization were stemmed not from the different kinds of perspective but from the different degree of one. This paper argues that this clue could be suggested by rethinking the fact that the didactic and the elegant are not opposing relation, and therefore, the dilemmatic relation and the dichotomous perspectives could be transformed to the new scientific methodology. Also, this paper analyzes the drawings with overlapping lines by Leonardo da Vinch which creates the emergent cosmos from the chao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referring to the eminent biologists Wright, Dobzhansky, Simpson, this paper examines that knowledge visualization as necessary factors not the subsidiary ones in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Particularly these biologists simultaneously used the top-down methodology like mathematics and the bottom-up methodology like their drawings and this become the converging approaches for integration of each sides of knowledge. I will investigate a range of possibilities that a new knowledge visualization with new perspective will be explored on the conceptual foundation of ‘neo-contience’ and ‘qualia’. Consequently, this paper will show the currents field of knowledge visualization and open up new vistas from the new perspective based on Science-Art hybrid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