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鄭齊斗에서 沈大允에로의 근대적 전이양상 - 하곡과 백운의 『中庸』 이해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Annotations of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by Jeong Je-du and Sim Dae-yun - Focus on the Mean Doctrine Theory(中庸說) and the Annotation on the Mean Doctrine (中庸訓義)-)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2.12
36P 미리보기
鄭齊斗에서 沈大允에로의 근대적 전이양상 - 하곡과 백운의 『中庸』 이해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33호 / 191 ~ 226페이지
    · 저자명 : 장병한

    초록

    18세기 초반 하곡학에서 19세기 중반 백운학에 이르는 과정에서의 한국 양명학적 정신세계는 많은 부분 질적․양적으로 轉移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이 양상들은 시대 환경의 변천에 따른 대응 방안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사상의 전이들이 한국 양명학의 실학적 의미와 관련한 근대적 지향성에 비추어, 어떤 의미를 가지는 지에 대한 점검은 필요하다. 하곡학에서 백운학에 이르는 전반적인 과정에서, 1) 주자의 理氣 二元論의 구도에서 一元論으로 기획되는 가운데, 형이상학에서 형이하학적 氣學으로의 전이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 2) 주자의 관념적 理에 의한 인간의 몰주체적인 기존 질서에서, 하곡학이 인간의 개인적 주체성을 天論에 근거하여 강하게 어필하면서, 이는 백운학에 이르러서는 역사의 주체로서 인간의 사회성, 대중성, 공동성이 주요하게 자리매김 되고 있는 것. 3) 기존의 주자학적 질서에서의 天道로 인식되었던 聖人이 땅으로 내려와 인간과 人道의 한 객체로서 자리잡게 되는 것, 4) 주자의 이분법적 도의 체용론적 구도가 깨어지고 道의 用만의 대소 범위로서 규정되고 있는 것, 5) 性卽理에 기반한 人과 物의 동등한 본성론의 가치 주장에서 人과 物, 人과 人의 차이를 인정하게 되는 것, 6) 하곡학에 의해 인간의 후천적인 修道 문제가 주요하게 대두되면서, 백운학에 이르러서는 충서와 중용의 실천을 통해서만이 仁․義․禮․智 四德이 획득될 수 있음을 주장하는 것, 7) 하곡학에서 차단되었던 인간의 利에 대한 욕구 문제가 백운학에 이르러서 인간 본연의 가치로 인정되고 있는 것 등이다.
    위의 경학적 전이 양상 중에서, 특히 형이하학적 氣學 대두, 인간의 주체성 강조, 대중성과 공공성의 어필, 聖人의 인간화, 仁義禮智의 덕의 후천적 획득 강조, 修道의 강조, 이분법적 체용론에서의 用만의 수용으로 전이, 인간의 利에 대한 본원적 가치 인정 등에서, 우리는 18세기 초반 하곡학의 일진보된 양명학적 가치들이 19세기 중반 백운학에 이르면서 양명학적 실학의 특성들로 구도화 되는 한편, 이는 곧 한국 근대성의 추이로 전환되는 일련의 전이 과정을 그려낼 수 있다. 물론 필자의 이러한 주장은 극히 개인적인 잠정적 결론에 의한 것임을 밝혀둔다. 그리고 특히 백운학이 利에 대한 욕구를 인간 본연의 당연한 가치로 긍정하는 가운데, 정주학도들의 虛僞적 假道學性을 비판하고 있는 것은 양명좌파적 가치에 가까운 것으로, 이는 뒤이어 백운의 저작들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그의 경학 세계를 극찬하였던 爲堂 鄭寅普(본관: 東萊, 1892〜 ?)의 양명학적 정신세계 즉, 實心에 기초한 假道學의 비판론에 맥이 닿고 있으며, 또 백운학의 與人同利, 與衆同行에 기초한 대동사상은 국망의 일제하의 양명학자로서 양명학을 통한 대중의 통합과 사회질서를 확립하려 하며 대동교를 창설하였던 白巖 朴殷植(1859〜1925)의 정신세계와 맥이 닿고 있는 점을 밝혀 둔다.

    영어초록

    This study sought to conduct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annotations on the Doctrine of the Mean by Jeong Je-du and Sim Dae-yun. Jeong Je-du with the pen name of Yugok (origin: Yeonil, 1649〜1736) is the founder of Korea’s Yang Myeonghak Doctrine in the 18th century. Sim Dae-yun with the pen name of Baekun (1806〜1872) is the founder of the original study of Chinese classics (經學) based on “The Great Ultimate Is Energy” (太極卽氣) doctrine who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opposed Neo-Confucian annotat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Dakkahashi Doru(高橋亨, 1878〜1967), a representative pro-government scholar, argued that Sim Dae-yun’s Home Teaching Source (家學淵源) traced back to Jeong Je-du [Sim Dae-yun’s great-grandfather brother Sim Yuk, and his great-grandfather Sim Ak were prime disciples of Ha Gok.], and defined Sim Dae-yun as Joseon’s only dissident of Neo-Confucianism. In the middle and late 19th century, in Anseong, Sim Dae-yun was active as the leader of the small-scale study group of follower scholars who were related to Jeong Je-du’s Yang Myeonghak doctrine sources and Soron faction context, until he died.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e following.
    For the viewpoints by Jeong Je-du and Sim Dae-yun on Chinese classics, Jeong Je-du criticized the then criticism of Chinese classics based on Zhuzi’s Four Books Annotations (朱子 『四書集註』). He discussed gains and losses based on the Six Classics (六經), namely, Ancient Classics (古經), and argued the wrong and right beyond the principles of way. He argued that since Zhuzi from Southern Song wrote new annotations based on his own views, Jeong Je-du himself established his annotation theory on classics including the Doctrine of the Mean to restore the original meaning of Ancient Classics. On the other hand, Sim Dae-yun also argued that he had to correctly interpret the 500 to 600 years of the Jeong Ju Doctrine annotation system that had deceived saints and deluded the world. He thus established a new overall annotation system for the Four Books [excluding Mencius] and Five Classics (五經).
    Next, in Chapter 1 of the Doctrine of the Mean, for the annotation of “What Heaven has conferred is called THE NATURE” (天命之謂性), Jeong Je-du, deviating from the Zhuzi’s theory of “Heaven Is Reason” (天卽理) and “Nature Is Reason” (性卽理), defined Heaven (天) as the whole (全體) of one element (一元), Nature (性) as the Heaven as granted to Human Mind (人心). On the other hand, Sim Dae-yun defined Nature (性) as “Liking Profit, namely, goodness, and disliking Harm, namely, Vice.” He argued that Nature-Goodness (性善) based on Human Mind (人心)’s bright knowledge (明知) is not the same as “Sincerity is the way of Heaven” (渾然天理) that was inherently granted to humans and saints and ordinary people as argued by Zhuzi.
    In the Chapter of Bieun (費隱), Jeong Je-du, deviating from Zhuzi’s viewpoint of “Bi (費) is Yong (用) and Eun (隱) is Chae (體),” defined Bi (費) and Eun (隱) as the practical way of noble man. He defined Bi (費) as a scope of shallow and humble way that can be easily practiced, and Eun (隱) as a scope of noble, lofty and elegant way that is difficult to reach. On the other hand, Sim Dae-yun also negated Zhuzi’s the Eunbi (費隱) theory, defined Bi (費) and Eun (隱) as the humans’ practical way. He defined Bi (費) as broad and great ([廣大], and Eun(隱) as a simple and small [約小].
    Jeong Je-du and Sim Dae-yun lived in different times of 200 years apart. Amid the Yang Myeonghak Doctrine and Soron Faction context continuing to be handed down, these scholars’ annotation system of the Doctrine of the Mean deviated from the Jeongju Doctrine annotation system, but they differed in itemized discussions according to their peri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