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48년 2월 22-24일, 6월 22-26일, 2월혁명과 두 번의 바리케이드 전투 (22-24 February and 22-26 June 1848, the February Revolution and the Two Barricade Battle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4.08
42P 미리보기
1848년 2월 22-24일, 6월 22-26일, 2월혁명과 두 번의 바리케이드 전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프랑스사 연구 / 51호 / 239 ~ 280페이지
    · 저자명 : 권윤경

    초록

    1848년 2월, 프랑스는 1789년 이후 세 번째 혁명을 맞았다. 1830년 7월혁명처럼 혁명을 “날치기” 당해 군주정이 돌아오는 사태를 반복하지 않으리라 다짐한 파리의 민중은 임시정부를 압박하여 제2공화정을 선포했다. 혁명 직후 노동권이 탄생하고 성인남성 보통선거권이 법령화됨으로써 파리 민중이 흘린 피는 결실을 보았다. 그러나 “1848년의 정신”이라고 불린 유토피아적 이상과 열광의 순간은 얼마 가지 않았다. 제2공화정은 6월봉기를 유혈 진압하며 유산자의 공화국으로 선회했다. 왜 2월의 바리케이드에서 함께 공화국을 탄생시킨 사람들은 6월에 또 다른 바리케이드를 사이에 두고 그토록 많은 피를 흘려야 했을까? 이 글은 파리 민중이 2월에서 6월까지 파리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혁명의 상징이었던 바리케이드를 둘러싸고 겪은 다양한 경험에 초점을 맞춘다. 2월혁명부터 6월봉기까지 이어진 “파리의 봄” 동안 경제적 상황은 어려웠어도 파리 노동자들은 이번에야말로 새로운 평등의 공화국을 수립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과 열정에 넘쳐 있었다. 이 희망은 대의제 공화국의 현실과 충돌하며 좌절되었고, 그 결과 2월의 “승리의 바리케이드”는 6월에 “절망의 바리케이드”로 변했다. 그러나 패배한 후에도 바리케이드의 기억은 노동자들의 “저항의 레퍼토리” 속에 오랫동안 살아남았다.

    영어초록

    In February 1848, France experienced the third revolution since 1789. Determined not to repeat the mistake of the July Revolution, when the revolution was “hijacked” and the monarchy returned, the Parisian people pressur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to declare the Second Republic. Parisian workers’ hope for a social revolution seemed to have come true as the rights of labor and universal suffrage for adult males were enacted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the February Revolution. However, the moment of utopian ideals and enthusiasm was short-lived. By the bloody suppression of the June Uprising, the Second Republic asserted itself as a bourgeois republic for property and order. Why did the people who had created a republic together on the barricades of February have to shed so much blood over another barricades in Jun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articular spatial dynamics of Paris in the 1840s and different experiences of the Parisian people from February to June around the barricades that were the symbol of the revolution. During the “Spring of Paris” from February to June, the economic situation was difficult, but the Parisian people were full of hope and enthusiasm that they would be able to establish a true republic of equality. This hope was dashed when it clashed with the realities of the representative Republic. The “barricades of triumph” of February thereby turned into the “barricades of despair” in June. But even after the defeat, their barricades lived for a long time on the memories of workers as the “repertoire of resist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랑스사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