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周易』에서 본 少太山의 발심 呪文과 大覺 직후 해석된 두 구절의 교리적 함의 (The doctrinal implication of Sotaesan’s Balsim invocation and two passages that interpreted immediately after his perception of absolute truth from the point of view of I-Chi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7.09
31P 미리보기
『周易』에서 본 少太山의 발심 呪文과 大覺 직후 해석된 두 구절의 교리적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73호 / 45 ~ 75페이지
    · 저자명 : 임병학

    초록

    본 논문은 『주역』의 입장에서 소태산의 발심 주문과 대각 직후 해석된 두 구절이 가지고 있는 교리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소태산의 발심 주문은 바로 22 세부터 시작된 구도에서 떠오른‘우주신 적기적기(宇宙神 適氣適氣)’·‘시방신 접기접기(十方神 接氣接氣)’와‘일타동공 일타래(一陀同功 一陀來) 이타동공 이타래 …… 십타동공 십타래’이며, 대각 직후 해석된 두 구절은 『동경대전』의‘오유영부 기명선약 기형태극 우형궁궁(吾有靈符 其名仙藥 其形太極 又形弓弓)’와 『주역』의‘대인여천지합기덕 여일월합기명 여사시합기서 여귀신합기길흉(大人 與天地合其德 與 日月合其明 與四時合其序 與鬼神合其吉凶)’이다. 먼저 발심 주문에서‘우주신 적기적기’ 가 천원(天圓)의 이치를 담고 있는 우주신을 통해 일원상의 진리를 자각한 것이라면,‘시방신 접기접기’는 지방(地方)의 이치를 담고 있는 시방(十方)을 통해 사은의 진리를 자각된 것이다. 또 대각 직후 해석된 『동경대전』의 구절은 태극(太極)과 궁궁(弓弓)을 통해 일원상의 진리를 확인한 것이고, 『주역』의 구절은 인의예지(仁義禮智) 사덕(四德)을 함축하는 내용으로 사은의 진리를 확인한 것이다. 원불교학에서 일원상과 사은의 진리는 모두 앞에 법신불이 붙는 가장 근원적인 교리이기 때문에 항상 동시적으로 자각되고 확인되었음을 알 수 있다. 원불교는 한국에서 자생한 깨우침의 종교이자 동양철학임에도 불구하고, 동양철학의 근본이 되는 『주역』의 학문적 원리에 근거한 연구가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특별한 의미를 담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Sotaesan’s Balsim invocation and the doctrinal implication of two passages that interpreted immediately after his perception of absolute truth from the point of view of I-Ching. Sotaesan’s Balsim invocation came from seeking the truth at the age of 22 years old. That is‘Ujusin Jeoggijeoggi’·‘Sibangsin Jeobgijeobgi’‘Iltadong-gong Iltalae itadong-gong Italae……Sibtadong-gong Sibtalae.’Two passages that interpreted immediately after his perception of absolute truth are‘Oyuyeongbu Gimyeongseon『yag Gihyeongtaegeug Uhyeong-gung-gung’of Dong-gyeongdaejeon and‘Daein Yeocheonjihabgideog Yeoil-wolhabgimyeong Yeosasihabgiseo Yeogwisinhabgigilhyung’of I-Ching. First, it means that‘Ujusin Jeoggijeoggi’in Balsim invocation revealed the truth of monism through a cosmic deity containing the reasoning of rounded sky. ‘Sibangsin Jeobgijeobgi’means that truth of four graces revealed from the ten directions that contains the meaning of squared ground. And the verse of the Donggyeongdaejeon(『東經大全』), interpreted immediately after his perception of absolute truth is to confirm the truth of monism through the Taegeuk(太極) and gung-gung(弓弓). The verse of the I-Ching contains the implication of inuiyeji(仁禮義智) and are a confirmation of the truth of four graces. In Won-Buddhism, the truth of one cirle shape(Ilwonsang) and the truth of four graces are the most fundamental doctrine that Beopssinbul(法身佛) prefix to their front. Won-Buddhism is a self-begotten religion and oriental philosophy in Korea, but there was no research based on the academic principle of I-Ching which is the basis of Eastern philosophy until now. So in this respect, this study has a special mea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