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그라두알레 트리플렉스』(Graduale Triplex) 사순 시기 영성체송 분석에 의한 『가톨릭 성가』 선곡 방안 (Methods for selecting 『Catholic Chant』 by analyzing the Communion Antiphons for Lent in 『Graduale Triplex』)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3.06
28P 미리보기
『그라두알레 트리플렉스』(Graduale Triplex) 사순 시기 영성체송 분석에 의한 『가톨릭 성가』 선곡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간과자연학회
    · 수록지 정보 : 인간과자연 / 4권 / 1호 / 181 ~ 208페이지
    · 저자명 : 이정순

    초록

    가톨릭 교회의 미사는 말씀 전례와 성찬 전례로 구성된다. 영성체송은 성찬 전례 중 가장 중요한 순간인 성체를 영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 영성체송의 고유문은 그날 말씀 전례 중 핵심 말씀을 상기시켜준다. 그러나 현재 영성체송 고유문은 문장으로 남아 있고, 대신에 주로 공통시기용 성체 성가를 부르고 있다. 성가집의 제한된 분류와 정형화된 선곡은 고유문이 담긴 노래를 잠자고 숨어있게 만들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사 전례 안에서 영성체송 고유문에 맞는 성가를 선곡함으로써 신자들이 그날 말씀 메시지를 되새기며 기쁘게 노래하도록 적극적으로 돕는 것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사순시기 영성체송 고유문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그라두알레 트리플렉스』에 있는 그레고리오 성가의 영성체송 11곡의 말씀 출처를 분석하고 활용하여 『가톨릭 성가』에서 적합한 곡을 선곡하는 것이다.
    『가톨릭 성가』중에서 고유문과 일치하는 8곡을 선곡하였다. 그 외에도 고유문의 비슷한 가사나, 전례적 의미가 같거나 , 영성체송 시편 말씀 등 연관되는 15곡을 선곡하였다. 사순시기 영성체송의 말씀 출처는 복음이 9곡, 시편이 2곡이다. 부활시기까지 말씀 출처를 살펴보면 제1독서 1곡과 제2독서 2곡이 포함되어 있다. 고유문의 다양한 출처와 전례문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활용 범위에도 탄력성을 주었다. 새로 바뀐 고유문 4곡 중 한 곡은 시편에서 복음으로, 세 곡은 복음 안에서 바뀌었는데, 더 구체적이고 능동적인 복음 메시지로 발전했다.
    연구 결과는 고유문과 일치하는 곡이 예상 보다 많았다. 오랜 세월 많은 이들의 정성으로 이루어진 가톨릭 성가집의 풍요로움이 드러났다. 가톨릭 성가집의 진가가 더욱 드러나기 위해 성가집 분류와 말씀 출처에 대한 정보가 더 구체적으로 보완될 필요가 있다. 또한 획일적인 선곡을 지양하고 전례문을 살린 선곡을 한다면 말씀의 빛과 찬미의 기쁨은 배가 될 것이다. 전례 성가의 본질은 말씀과 기도문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가톨릭 성가집을 꼼꼼히 활용하는 것은 전적으로 말씀이 중심인 <그레고리오성가>와 회중 찬양을 중시하는 <전례 헌장>의 정신을 모두 충실히 따르는 길이다.
    후속 작업으로 모든 전례 시기의 영성체송 고유문을 반영한 선곡을 할 것이다. 본 연구가 고유문과 선곡의 중요성을 새로 인식하게 하고, 가톨릭 성가집에 없는 영성체송 고유문들은 회중들에게 쉽고 은혜로운 성가로 태어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Mass in the Catholic Church consists of the Liturgy of the Word and the Liturgy of the Eucharist. The Communion Antiphon is a song that is sung while receiving Communion, the most important moment in the Eucharistic liturgy. The proper text of the Communion Antiphon reminds us of the key words of the Liturgy of the Word that day. However, at present, the proper text of the Communion Antiphon remains as a sentence, and instead, the Communion song for common times is sung. The limited classification of hymnals and the standardized selection of songs made songs with proper texts hidd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tively help believers sing joyfully, reflecting on the message of the Word of the day by selecting a chant suitable for the proper text of the Communion Antiphon in the liturgy of the Mass. The scope of the study is the proper text of the Communion Antiphon during Lent. The research method is to analyze and utilize the sources of the 11 Communion Antiphons of the Gregorian chant in the 『Graduale Triplex』 and select appropriate songs from the 『Catholic Chant』.
    Among 『Catholic chant』, 8 songs that matched the proper text were selected. In addition, 15 related songs were selected, such as the lyrics of the proper text, the same liturgical meaning, and the words of the psalms in the Communion. The sources of the Communion Antiphons during Lent are 9 Gospels and 2 Psalms. Looking at the source of the word until the time of resurrection, 1 first reading and 2 second readings are included.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sources of the proper text and the liturgical text gave elasticity to the scope of application. One of the four new proper text was changed from the psalms to the gospel, and three songs were changed within the gospel, all of which developed into more specific and active gospel messag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re were far more songs suitable for the proper text than expected. The richness of the Catholic Hymnal, which was made with the devotion of many people over a long period of time, was revealed. In order to further reveal the true value of Catholic hymnal,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lassification of hymnal and the information on the sources of words in more detail. In addition, if we refrain from a uniform selection of songs and select songs based on liturgical texts, the light of the Word and the joy of praise will be doubled. This is because the essence of liturgical chant lies in the Words and prayers. Therefore, the meticulous use of Catholic hymnal is a way to faithfully follow both the spirit of the <Gregorian Chant>, which is entirely centered on the Word, and the <Liturgical Charter>, which focuses on congregational praise.
    As a follow-up work, I plan to select songs that make use of the proper text of the Communion Antiphons of all liturgical season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awaken the importance of the proper text and selection of the Communion Antiphon, and that the proper texts of the Communion Antiphon, which are not found in the Catholic hymnal, will be born as an easy and gracious chant for the congreg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간과자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