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사회 의례의 전승에 관한 연구 -경북 군위군 효령면의 두 의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the Rituals in Local Society -Centering Around Two Rituals in Hyoryeong-myeon, Gunwi-gu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09.08
31P 미리보기
지역사회 의례의 전승에 관한 연구 -경북 군위군 효령면의 두 의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39호 / 97 ~ 127페이지
    · 저자명 : 이창언

    초록

    이 연구는 동일한 생활권역에서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으로 활약한 인물에 대한 수 백 년 동안 지속된 사족 중심의 향사와 기층민 중심의 동제가 현대사회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양상으로 전승되었는지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의례의 지속과 변화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은 의례의 구성요소에 국한하지 않고, 의례의 전승에 수반된 환경의 변화와 이에 대한 의례 주체의 대응에 주목하고 있다. 이처럼 시대의 변천에 따른 주재집단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상황의 변화와 의례 전승과의 상관성에 주목함으로써 의례 재생산의 의의를 살펴보고, 그 전승과 보존의 새로운 방향을 점검해 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족 중심의 향사는 유교적 가치관의 실천이라는 의례적 의미와 함께 조선시대 사족들 사이에서 향촌사회의 주도권 다툼과 관련하여 그리고 평민들에 대하여 우위적 관계를 유지하는 상징적 자원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유교적 숭배 인물에 대하여 마을굿 방식의 제의를 행하는 민촌의 동제는 의병장의 영웅적 투쟁과 의로운 죽음에 대한 민의 칭송과 애석함을 반영함으로써 독특한 제당구성, 신격 및 제의절차를 보이며 전승되었다.
    동일한 역사적 인물에 대한 두 의례는 시대적 변화 과정에서 새로운 상징적 의미를 생성하였다. 서원철폐령과 근대 이후 새로운 사조의 범람으로 전통적 사회질서의 기반이 위태로운 상황에서 사당을 복원하고 향사를 지속한 것은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주재집단의 적극적인 의지를 반영하고 있다. 민촌의 동제도 액을 물리치고 풍요를 기원하는 의례적인 의미 외에 근대를 거치면서 달라진 전승 주체의 새로운 위상을 상징하게 되었다. 이로써 두 의례는 지역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거시적 사회과정의 역동성에 대한 대조적인 대처 양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수백년 동안 전승된 두 의례는 후기 근대적 상황에서 상이한 변화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농촌인구의 과소화와 고령화에 따라 전반적으로 의례전승 기반이 약화되었으며, 이런 양상은 의례 수행의 어려움이 많은 향사의 경우 극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의례의 개방화와 관련 유적의 문화재화를 모색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의례 운용의 공영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역사회는 다양한 세력과 이해관계가 경쟁하며 정체성을 형성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전승 기반이 약화된 후기 근대적 상황에서 지역의 의례는 새로운 관점에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ging phases of the rituals lasted for several hundred years in local society. The rituals carried out in two different villages in Hyoryeong- myeon, Gunwi-gun are the memorial services for the same historical figure who palyed an important part for defeating Japanese soldiers in local area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By the way the supervision group, the procedure and significance of the rituals are different from the each other. The one called Hyangsa(享祀) have been held by a few of elite lineage groups in local society by course of the Confucian worship procedure. For the elite lineage groups, the ritual have had a symbolic meaning for their solidarity. In the traditional society, they have competed with some other elite lineage groups for taking charge of the hegemony in local society. And they also have domineered over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who sometimes have revolted against the ruling upper classes. So they needed to organize and hold the ritual which symbolized their social and political basis.
    The other called Dongie(洞祭) have been held by the lower class by course of a traditional shaman way. They changed the divinity from the natural divine to the historical figure after the monument was established in their village. Because they needed the great power which the historical figure had possessed enough to overcome evil deities.
    In modern society, the basis of transmitting the rituals is generally weakened because of the rapid decrease and ageing of rural population in the course of industralization and urbanization. But the responses of supervision groups of the rituals to these changing circumstan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elite group would like to open the ritual to the public and seek to hand on the management of the ritual to the public institute. In the other hand Dongje is still carried out with the high concerning of the villagers. These changes are the results of change in the symbolic meaning of the rituals. For the supervision group of Dongje, the ritual and divinity symbolize their changing status and prosperity. So, the changing circumsrances differently operates transmitting the local rit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