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과 프랑스의 <AT 613 두 여행자> 설화 비교 연구: 서사 구조와 모티프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he Korean and French Versions of "AT 613 The Two Travelers (Truth and Falsehood)" with Special Emphasis on Narrative Structure and Major Motif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6.10
36P 미리보기
한국과 프랑스의 &lt;AT 613 두 여행자&gt; 설화 비교 연구: 서사 구조와 모티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70호 / 61 ~ 96페이지
    · 저자명 : 김환희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세계광포설화인 <AT 613 두 여행자: 진실과 거짓> 유형에 속하는 한국 각편들과 프랑스 각편들을 비교해서 두 나라의 설화가 지닌 보편성과 특수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아직 국내에서 연구된 적이 없는 <AT 613> 유형은 1897년부터 지금까지 채록된 구전 자료가 약 27편에 이를 정도로 전국적으로 널리 전승되어온 설화이다. 스티스 톰슨은 <AT 613> 유형의 기본 서사 구조를 (1) 실명한 남자, (2) 비밀 대화 엿듣기, (3) 비밀을 활용하기, (4) 벌 받은 악인으로 요약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유형에 속하는 27편의 한국 각편과 13편의 프랑스 각편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이 글에서 프랑스 각편을 비교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외국학자들이 소개한 수많은 외국 각편들 가운데서 프랑스 각편이 한국 각편과 가장 유사한 서사 구조와 공통 모티프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과 프랑스 각편들이 보여주는 공통모티프는 거지, 실명, 유기, 치유의 물, 신성한 나무, 물줄기 탐색, 여성의 치유, 결혼 등으로 간추릴 수 있다. 한국과 프랑스 각편들의 대다수는 거지 모티프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두 거지는 자신의 힘으로 살아갈 능력을 갖추지 못해서 동냥하면서 목숨을 연명한다. 질투심 또는 탐욕 때문에,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눈을 멀게 한 후 숲 속에 유기한다. 주인공은 나무 위에 올라가서 동물 또는 정령들의 비밀 대화를 엿들은 후 세 가지 과제를 수행한다. 세 가지 과제는 신성한 나무의 잎으로 눈을 비비거나 신이한 약물을 사용해서 눈을 치유하는 것, 가뭄으로 고생하는 마을 사람들을 위해 물줄기를 찾아주는 것, 악독한 동물 때문에 병든 부잣집 딸 또는 공주를 치유하는 것이다. 이 세 과제를 완수한 착한 아우(동료)는 자신이 치유한 여성과 결혼을 한다. 악인은 주인공의 성공을 시기해서 같은 장소에 가서 동물이나 정령들의 대화를 엿듣지만 끔찍한 최후를 맞이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서사 구조가 한국과 프랑스의 각편에 공통으로 발견된다.
    한국과 프랑스의 <AT 613> 설화는 서사 구조의 측면에서 볼 때는 공통점이 크지만 세부 화소에 있어서는 여러 차이점을 보여준다. 한국 설화에서는 맹인이 된 주인공이 도깨비나 호랑이의 대화를 엿듣고, 프랑스 각편에서는 늑대나 여우의 대화를 엿듣는다. 한국 설화에서는 치유의 힘을 지닌 신성한 나무가 복숭아나무, 프랑스 설화에서는 참나무로 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여성을 병들게 한 동물이 한국 설화에서는 부잣집 지붕 밑에 사는 지네, 프랑스 설화에서는 공주의 침대 밑에 있는 두꺼비이다. 특히 두꺼비는 한국과 프랑스의 상징체계의 차이를 여실히 보여준다. 한국의 <지네 장터> 설화에서는 박해받는 여성을 위해서 자신을 희생하는 조력자로 나타나는 두꺼비가 프랑스 설화에서는 여성을 괴롭히는 악독한 동물로 등장한다. 한국 각편에 나타나는 금은보화 모티프도 프랑스 각편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악인의 징치도 한국 각편보다는 프랑스 각편에서 더 철저하게 이루어진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Korean Versions of "AT 613 the Two Travelers" with its French counterparts and comprehend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between the versions from each country. Stith Thompson defines the basic narrative structures of AT 613: (1) The Blind Man, (2) The Secrets, (3) Use of the Secrets, (4) The companion Punished. I have analyzed 27 Korean versions and 13 French versions that can be categorized into AT 613.
    Both Korean and French versions have the following common motifs: beggars, blindness, abandonment, healing water, sacred tree, lack of water, healing sick princess, marriage, and so on.  In the majority of Korean and French versions the story begins with the motif of beggars. Two brothers (or companions) live off the charity of others. For jealousy or greed, one puts out the other's eyes and abandons him in the forest. The blind man climbs into the branches of a tree and overhears the secrets of animals or spirits.  The good one performs the three tasks by using the secrets: (1) he restores his eyes by rubbing the leaves of the sacred tree or by using magic water; (2) opens a dried-up well or new spring by cutting the tree in a certain village whose people have suffered from the lack of water; (3) heals a rich man's daughter (princess) who has been sick because of a demonic animal. After completing these three tasks, the good brother(companion) marries the woman who he has healed. The wicked man goes to the same place and attempts to overhear the secret from animals. He is severely punished. These basic narrative structures can be very commonly found in most of the Korean and French Versions.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details between the Korean and French versions. In most of the Korean versions, the blind man overhears the secrets of Dokkaebies(Korean demonic spirits) or tigers whereas in its French counterparts he overhears the secrets of wolves or foxes. In the Korean versions, the sacred tree having healing power is a peach tree whereas in the French ones an oak tree.  In the Korean versions, the demonic animal that makes the maiden get sick is a centipede under the roof or ceiling while in the French ones it is a toad hidden under the princess's bed. This symbolism of the toad in France is very different from the one in Korea. In the Korean tradition, the toad appears not as an evil creature but as a helper or savior who sacrifices himself/herself to emancipate the persecuted heroine. The motif of unearthing the treasures of gold and silver can be commonly found in the Korean versions, but it is hardly found in the French versions.  The punishment of the evil man is more severe in the French than in the Korean tale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