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석기시대 설치류 화석과 고환경: 정선 매둔 동굴유적을 중심으로 (Paleolithic Rodent fossils and Paleoenvironment : from Maedun cave site in Jeongseon, Korea)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1.06
44P 미리보기
구석기시대 설치류 화석과 고환경: 정선 매둔 동굴유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석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구석기학보 / 1권 / 43호 / 5 ~ 48페이지
    · 저자명 : 박지효

    초록

    강원도 정선군 남면 낙동리에 위치한 매둔 동굴유적은 연세대학교박물관에 의해 2016년부터 현재까지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곳이다. 약 3m의 퇴적층에서 구석기·신석기·청동기시대에서부터 근·현대까지 이르는 다양한 유물과 동물화석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동물화석 분석에서는 대형포유류 동물상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었으나, 소형포유류 화석은 체계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매둔 동굴유적에서 수습된 소형포유류에 주목하였으며, 이 가운데 고환경 복원에 유용한 설치류 화석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학위논문에서는 구석기·신석기·청동기층 설치류 화석을 전반적으로 관찰하였으나 본 글에서는 2구획의 구석기층 출토 화석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2구획 구석기층에서 확인된 설치류 화석은 총 2과 10속 13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뼈대수(NISP)를 토대로 한 최소마리수(MNI)는 약 34마리로 산출되었다.
    세부 층위별로 나누어 보면 구석기 1층(P-1)에서는 2과 8속 10종(최소마리수 18마리), 구석기 2층(P-2)에서는 2과 7속 9종(최소마리수 16마리)의 설치류 화석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종적 구성을 해석하기 위하여 설치류 종별 생태유형 및 한반도 내 설치류 화석 출토 유적을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 매둔 동굴 유적 구석기층의 설치류 동물상은 북한의 황주 청파대 동굴 및 한국의 제천 점말용굴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종 가운데 산쥐, 간단이빨쥐, 라티셉갈밭쥐 등을 통해 퇴적층 형성 당시 유적 주변이 현재보다 서늘하고 건조한 기후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특정한 서식환경에 대한 제약 없이 대부분의 환경에 잘 적응하는 등줄쥐, 비단털들쥐 등이 같이 출토하기 때문에 설치류 종적 구성은 ‘생태학적 다양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ed at analysis of paleolithic rodent fossils and paleoenvironment using fossils from Maedun cave site in Jeongseon, Korea. Excavation led by the Yonsei University Museum is still underway in Maedun cave site located at Nakdong-ri, Nam-myeon, Jeongseon-gun, Gangwon-do Province since 2016. A variety of relics were identified on about three-meter sedimentary layers Maedun cave site in which people had long inhabited and settled from the Paleolitic·Neolithic·Bronze Age to the modern time. In particular, a study on macro-mammal fauna was settled into shape but, unfortunately micro-mammal fauna were not systematically observed and further analyzed. In this light, this article analyzed rodent fossils good for paleoenvironmental reconstruction among micro-mammals gathered at this cave site. In spite of observing and analyzing all of rodent fossils unearthed from Paleolitic·Neolithic·Bronze Age layer in master’s monograph, I have observed rodent fossils excavedted from Paleolithic layer in ‘Second section’ closely. As a result, the number of rodent fossils at the Maedun cave site’s paleolithic level revealed that there were a total of 71. And that fossils were classified into 2 families 10 genera and 13 species. Also the Number of Identified Specimens(NISP) and the Minimum Number of Individuals(MNI)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species composition. The species composition of Paleolithic-1 layer turned out 2 familes 8 genera 10 species (MNI: 34 consisting of 18), and 2 familes 7 genera 9 species (MNI: 34 consisting of 16) in Paleolithic-2 layer. In order to comprehend composition of rodent fossils, each rodent’s ecological type and the excavtion list of fossils founded in the Korean Peninsula was organized. Maedun cave site’s rodent fauna was similar with Cheongpadae cave site(North Korea) and Jeommal cave site(South Korea). Furthermore, representative rodent fossils in the Paleolithic layer pertaining to the Quaternary-Pleistocene Period include Alticola, Pitymys simplicidens and Microtus ratticeps from which it can be said that there had been cold and dry weather in the time when sedimentary layers were formed.
    However,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species composition was reflected on ‘ecological diversity’ account for unearthing Apodemus and Eothenomys regulus which adapted themselves to any natural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