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의로움의 두 얼굴 —<니코마코스 윤리학> 1135b11-25에 나오는 세 가지 손해— (Two Faces of Justice: Three Harms in Nicomachean Ethics 1135b-25)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3.03
26P 미리보기
정의로움의 두 얼굴 —&lt;니코마코스 윤리학&gt; 1135b11-25에 나오는 세 가지 손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고전학연구 / 62권 / 1호 / 65 ~ 90페이지
    · 저자명 : 이정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니코마코스 윤리학』 5권 8장에 나오는 세 가지 손해(atychēma, hamartēma, adikēma)가 나오는 맥락과 의미를 검토하는 것이다. 비록 윤리학적 저작들에서 이 용어들의 언급은 없지만 『수사학』1374b1-10에서 유사한 구절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세 가지 손해에 대한 서술은 『수사학』의 그것들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고 세 가지 손해에 대응되는 것이 불명확하다는 점에서 텍스트에 대한 세밀한 분석이 요청된다. 자발성과 비자발성을 논하는 해당 문맥을 살폈을 때, 5권 8장의 세 가지 손해의 5가지 후보들은 atychēma, hamartēma, adikēma의 어느 하나에 배속되지만 같은 범주의 손해라고 하더라도 그 평가를 달리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세 가지 손해가 자발성 및 비자발성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에도 그 범주 아래에 세부적인 특징을 나누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서술을 이해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두 가지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하나는 서술방식의 차이로 보는 것으로, 『수사학』의 세 가지 손해는 기존의 법정 용어들을 기술한 것이라면 『윤리학』의 세 가지 손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해석이 담겨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관점의 차이로 보는 것으로, 『수사학』의 세 가지 손해는 법적인 관점을 제시한 것이라면 『윤리학』의 세 가지 손해는 도덕적인 관점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이다. 어떠한 경우든 간에 세 가지 손해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서술은 정의를 바라보는 관점의 다양성을 함축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three harms (atychēma, hamartēma, adikēma) in Chapter 8 of Book 5 of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EN). Although there is no mention of these terms in his ethical writings, a similar passage can be found in Rhetoric (1374b1-10). However, the explanations of the three harms in EN are more detailed than those in the Rhetoric, and the corresponding items to the three harms in question are unclear. Considering contextual background discussing the voluntary and involuntary, the five candidates for the three harms in EN 5.8 are assigned to either one of atychēma, hamartēma, and adikēma in the end. But different qualifications characterize each item even for the same category of harm.
    In order to understand Aristotle’s additional descriptions of the three harms, this study suggests two possible interpretations. One is to see it as a difference in the explanation: While the three harms in Rhetoric are a description of legal concepts, those in EN contain Aristotle’s own interpretation. The other is to see it as a difference in perspective: if the three harms in Rhetoric suggest a legal point of view, those in EN emphasize the moral point of view. In any case, this implies the diversity of Aristotle’s perspective of jus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