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禮學에서 史學으로 -王肅과 杜預 학문의 비교를 중심으로- (From ritual study to Historiography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Wangsu and Duyu’s stud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3.10
35P 미리보기
禮學에서 史學으로 -王肅과 杜預 학문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사연구 / 86호 / 89 ~ 123페이지
    · 저자명 : 김석우

    초록

    왕숙과 두예의 학문을 비교하는 방법을 통하여 역사적 인식론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째, 2장에서는 왕숙의 학문이 가지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전통시대 이래 왕숙의 학문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많았는데, 특히 『孔子家語』 등의 자료를 위조하여 자기 주장의 근거로 삼은 점이 널리 지적되어 왔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그러한 견해가 지나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최근의 출토 자료에 근거하여 왕숙의 위조설이 신빙성을 갖지 못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음을 소개하였다. 또한 『三國志』 「王肅 열전」의 기사를 검토하여 그가 현실과 역사적 선례를 중시하고, 황제 권력에 대해서도 그 정당성에 대하여 회의할 수 있는 합리적인 사유의 소유자임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특성은 비단 왕숙 개인의 것이라기 보다는 魏晉 시기 경학자들의 일반적인 경향으로 볼 수 있으며, 두예 또한 그러한 경향을 계승하였을 것으로 보았다.
    둘째, 3장에서는 왕숙 학문의 한계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왕숙은 비록 鄭玄의 학문에 강한 도전 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실제로는 그의 학문을 극복할 만한 학문적 체계를 세우지는 못하였다. 오히려 정현의 해석으로부터 많은 부분을 차용하였기 때문에, 그것을 가지고 정현을 공격하는 일에는 커다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왕숙은 새로 발견되는 자료에 의존하고자 하였는데, 그가 孔氏 집안에서 발견했다고 주장했던 『孔子家語』는 그 대표적인 사례였다. 이처럼 한계를 보였던 왕숙의 학문은 결국 그의 후계자들에게 계승되어 새로운 학문적 방법론을 획득하게 되었다. 그 하나는 王弼의 玄學이었고, 다른 하나는 杜預의 史學이었다. 두예는 『춘추』를 사서로 정의하고, 『좌전』 내부에서 義를 추구하는 방법을 정식화함으로써 한대의 춘추학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해석법을 세울 수 있었다. 경학과 구별되는 사학의 방법론이 제시되는 것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였다.
    셋째, 4장에서는 두예의 사학이 예학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두예는 『춘추』를 사서로 보면서도 동시에 ‘禮經’이라고 주장하였다. 그의 ‘禮經說’은 무리한 해석에 기초한 것이었으나, 두예의 학문 전체의 틀 안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두예는 형식과 제도보다 誠心과 恤民 등 근본적이고 구체적인 실천이 예를 이룬다고 하였다. 또한 나아가 禮를 만물의 본체로 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禮를 本體로 파악하려는 관념은 두예의 부친인 杜恕로부터 전수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본체와 현상이라는 형이상학적인 논의의 틀은 王弼의 易學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두예는 「春秋左氏傳序」에서 易學과 春秋學의 상관성에 대하여 여러 차례 언급하였다. 易學에서 卦時와 爻位가 본체와 현상으로 결합되는 것처럼 春秋에서는 禮와 史가 본체와 현상으로 결합되어 있다고 설명하였다. 그 점에서 두예의 춘추학은 동시대의 현학적 사유로부터 방법론의 핵심을 차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을 통하여 두예는 禮의 탐구가 史學의 방법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었던 것 같다. 그것은 經學의 방식을 통하여 禮를 추구했던 한대 학자들과 구별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史學의 독립을 가져온 ‘역사학적 인식론’은 이처럼 왕숙과 왕필 그리고 두예로 이어지는 학문적 전개 과정 속에서 등장하게 된 것이 아닐까 추정해 보았다.
    그동안 두예의 예론은 諒闇短喪制 등 특정의 문제만이 주목되었을 뿐, 전체적인 특성이나 논리 등에 대해서는 별다른 관심이 없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史를 통하여 추구되는 禮의 모습은 과연 어떠한 것인지에 대해서도 더 논의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과제로 삼겠다.

    영어초록

    In Han times, the Historical Records (shi-ji) of Si-ma-qian and the Han Records (Han-shu) of Ban-Gu represented a great achievement of historical scholarship. But at that time people didn’t have the concept of ‘historiography’ (shi-xue) yet, so they classified the Historical Records (shi-ji) as the part of the canon study (jing-xue) writings, in the Han Records (Han-shu) yi-wen-zhi (藝文志), the first bibliography of ancient writings. After the collapse of Han dynasty, Chinese knowledge system began to change, which divided into four fields, canon study (經), historiography (史), philosophy (子), literature (集), this classification system lasted until 19th century. Among them, this paper tried to examine how the historiography separated from canon study.
    Many scholars acknowledged that chinese historiography especially in Wei-Jin-Nan-Bei Chao times. The government developed an official organization designed to edit official historical works, and many individual and family historians wrote their own histories, so the amount of historical works increased impressively, and various kinds of history genres come on the stage in that time. But until now not so much scholars focused on the emergence of historical consciousness. So little is known about the concrete process of evolu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which is most important to explain why the Wei-Jin-Nan-Bei Chao intellectuals began to think that historiography was independent scholarship from cannon study.
    To explain this subject, this paper considers the relations of two scholars, Wang-su and Du-yu. Wang-su was a most influential scholar in Wei dynasty, his main field was Ritual study (禮學). When he explained the Ritual (禮), he used to concerned the historical precedent, so his scholarship inclined to be rational and reject the dogmatism. But he failed to erect the interpretative system for confucian canons. But Wang-su had two outstanding students, Wang-bi(王弼) who elected the chinese metaphysics Xuan-xue (玄學), and Du-yu who made the historical methodology. Du-yu created the spring and autumn (春秋) hermeneutics, he tried to systemize a way to pursue the truth inside the historical text, the spring and autumn (春秋), and that was a great step forward the emergence of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e chinese way thin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