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병서(兵書)를 읽는 두 가지 방법-조선 중후기 병서 비평자료를 중심으로- (Two Different Ways to Read Books of Military Strategyin the Middle and the Late Chosŏn Dynasty)

6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4.06
61P 미리보기
병서(兵書)를 읽는 두 가지 방법-조선 중후기 병서 비평자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54호 / 215 ~ 275페이지
    · 저자명 : 김홍백

    초록

    본고는 조선 중후기의 병서 담론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그 경향과 의미를 조망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16세기 말 이래 조선의 병서 담론에는, 전법이나 무기 체계 등 군사 분야의 전문 서적으로서 특정하여 접근하는 시각을 제외한다면, 크게 두 가지의 흐름이 존재해왔던 것으로 보인다.
    첫째는 병서를 제자백가 내지 선진양한의 고문으로 인식하는 경향이며, 둘째는 병서에 내장되어 있는 병 담론을 이용후생을 위한 제도적, 사회경제적 쇄신책의 일환으로 전용하는 경향이다. 물론 두 흐름은 때로 한 지식인 안에 공존하는 경우도 존재하나, 대체적으로 김석주, 홍석주의 경우처럼 문장가로서의 면모가 강한 지식인에게는 전자의 경향성이 발견되고 이익, 정약용의 경우처럼 실학자로서의 면모가 강한 지식인에게는 후자의 경향성이 발견되는 듯하다.
    아울러 조선 중후기의 적지 않은 유가 지식인들이 병서를 단초로 삼아 ‘왕(王)=패(覇)’ 내지 ‘문(文)=무(武)’ 간의 관계를 균형적이고 통일적으로 파악하고자 했음이 주목된다. 이는 유가의 왕도 정치[經道, 文學]와 법가의 패도 정치[權道, 武學]를 대립되는 것으로 파악하기보다는 상보적, 병행적 관계로 이해하려는 태도이자, 문학에서의 고문 글쓰기와 작문의 방법론을 병법과 용병의 전술과 유사한 차원의 것으로 등치시키려는 태도에서 드러난다. 이처럼 조선 중후기 지성사는 일정부분 병서를 매개로 하여 유학과 병학 내지 전쟁(정치)의 영역과 문학의 영역이 상호 밀접하게 교섭하면서 전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how discourses on the books of military strategy[兵書] has been developed throughout the middle and the late Chosŏn dynasty. There have been two ways to read books of military strategy in the period, excepting the viewpoint that simply sees it as a technical document that deals with military tactics and weapons system.
    One way to read it is as an ancient writing[古文] of all philosophers and scholars[諸子百家] and Prose in Pre-Qin and Han Dynasty[先秦兩漢], and the other way is to interpret it as a practical writing that can be applied to reform the institutional, social and economic system. Although these two ways often co-exist, most of archaic prose writers such as Kim Seok-Joo(金錫胄) and Hong Seok-Joo(洪奭周) are pro to the former reading method whrereas the Silhak[實學] scholars such as Yi Ik(李瀷) and Jung yak-yong(丁若鏞) tend to agree with the latter one.
    In addition, the books of military strategy enabled many of confucian intellectuals to understand the moral politics[王道] and the power politics [覇道], or the Pen[文] and the Sword[武] in a balanced perspective. It led them to think the moral politics[王道] of confucian and the power politics[覇道] of legalist as complementary, not incompatible. Also, those scholars tended to relate writing method to the military tactics. To conclude, the books of military strategy was a kind of medium that mingles the field of confucianism, military science, and literature. It is one aspect of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middle and the late Chosŏ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