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두 마리아’에 대한 묘사를 통해본 복음서들의 여성관 (The Perspective of Gospels on Women in the descriptions of two Ma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4.04
28P 미리보기
‘두 마리아’에 대한 묘사를 통해본 복음서들의 여성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고대사연구 / 37호 / 105 ~ 132페이지
    · 저자명 : 정기문

    초록

    20세기 후반 페미니즘이 하나의 담론으로 정착하면서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초기 기독교 역사를 재구성하려는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이런 연구들에 의하면 예수와 바울은 기존에 생각해왔던 것보다 여성을 높게 평가하였고, 그들에게 주요한 역할을 맡겼다. 그렇지만 1세기 후반 이후 남성중심적 시각에서 예수의 가르침을 왜곡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되었다. 1세기 후반의 산물인 복음서도 그런 흔적을 담고 있으며, 그 가운데 특히 누가복음에 남성 중심적 시각이 가장 강하게 관찰된다.
    이 논문은 이런 페미니즘의 시각과 연구 결과가 기본적으로 올바른 문제 제기를 하였지만 복음서와 초기 기독교 역사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하여 복음서 저자들을 반페미니스트로 규정한 것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마가복음과 누가복음의 서술은 두 복음서가 추구했던 신학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마가복음이 향유 부은 여인의 이름을 밝히지 않은 것은 ‘메시아의 비밀’이라는 마가복음의 대주제에 맞추기 위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누가복음이 향유 사건의 주도자를 ‘죄를 지은 한 여자’라고 제시했던 것은 스스로 정결을 주장했던 바리사이파에 대립적인 인물을 제시하기 위한 조처이었다. 따라서 누가복음이 남성중심적 시각에서 각색된 문서라는 페미니스트들의 주장에는 다시 생각해 보아야할 요소들이 많다고 생각된다.
    요한복음의 두 여인에 대한 묘사는 공관복음의 묘사와 사뭇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요한복음에는 예수의 사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여인들이 여러 명 등장하며, 특히 막달라 마리아는 부활한 예수를 처음으로 만난 증인으로 묘사된다. 이는 막달라 마리아가 베드로나 애제자보다 권위가 더 높은 인물이었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요한복음의 이런 상은 공관복음의 묘사보다 페미니스트들이 재구성한 예수의 여성 상에 가깝다. 그러나 요한복음의 이 진술은 역사적 사실이 아니다. 그것은 베드로 후계자들을 견제하려는 요한 공동체의 의도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요한복음의 진술 또한 신학적 입장에서 해석해야 한다.

    영어초록

    Since the 1970s, the study of early Christianity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feminism. According to the study of feminist scholars Jesus and Paul wanted to give more opportunities and freedom to women in the church. However since the late first century Christians who had male-centered perspective began to distort teachings of Jesus. Gospels contained distorted results. Accommodating feminist perspective I examined descriptions of four Gospels on women. Especially I focused my attention on descriptions on Mary the sister of Lazarus and Mary Magdalene.
    It is certain that the first Gospel degraded the position of women and underestimated the role of women. As an example the Gospel of Mark did not concede the meeting of Mary Magdalene and Jesus after Resurrection. We can interpret this description of the Gospel of Mark as the result of its effort to degrade Mary Magdalene. But I think that this interpretation is so simple. The most important theme of the Gospel of Mark is the ‘Messianic secret’. The followers of Jesus did not recognize the identity of Jesus as Messiah until Resurrection. According to this theme it seems natural that Mary Magdalene was embarrassed at the empty tomb. Therefore we can not conclude that the Gospel of Mary degraded Mary Magdalene.
    Scholars who uphold the perspective of feminists argued that the gospel of Luke degraded the position of women. According to their arguments the description of the gospel of Luke on the woman who poured perfume on the body of Jesus as ‘sinful woman’ is the conclusive evidence. Because the gospel of Mark simply calls her ‘a woman’. The changing ‘a woman’ into ‘sinful woman’ can be interpreted as an act of degrading her position. But I can not agree with them. The changing of the gospel of Luke is not the result of male-centered perspective but the theology of the gospel of Luke. The gospel of Luke paid many attentions to the poor and sinners. Describing her as ‘sinful woman’ the gospel of Luke expressed that Jesus gave very meaningful role to sinners.
    The descriptions of two women in the Gospel of John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ynoptic Gospels. Especially according to the gospel of John Mary Magdalene was the first person to meet the risen Jesus. Scholars who uphold the perspective of feminists tend to regard this as an historical fact. But I think this is the product of the theology of gospel of John. The community of John had a sense of intense rivalry with the followers of Peter. Therefore the lifting of authority of Mary Magdalene seemed to be the product of the theology of the gospel of Joh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