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사대부의 두창신(痘瘡神)에 대한 이해와 의례 (The Joseon Literati’s Understanding of and Rituals for the Smallpox Spirit)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0.09
35P 미리보기
조선시대 사대부의 두창신(痘瘡神)에 대한 이해와 의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종교문화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문화비평 / 38권 / 38호 / 221 ~ 255페이지
    · 저자명 : 이욱

    초록

    본고는 조선후기 성행하였던 전염병 중에서 두창(痘瘡)과 두창신(痘瘡神)에 대한 사대부의 반응과 이해에 관한 연구이다. 조선시대 사대부는 두창이 발생하면 안전한 곳으로 피신하는 것을 최상의 방법으로 여겼다. 부모와 조상의 상장례를 거행하기 위해 죽음을 무릅쓰고 경우도 있었지만 그들은 도피와 격리 속에서 최소한의 의례만을 수행하였다. 이것을 가능하게 한 것은 신주(神主)나 지방(紙榜)의 적극적인 활용이었다. 빈소나사당을 집에 마련하는 유교 의례의 특징 때문에 가족들이 자칫 집에 고착될 수 있으나이동 가능한 신주가 도피를 용이하게 해주었다. 또한 현장에서 쉽게 만들 수 있는 지방역시 이동의 부담을 줄여주었다. 한편, 면역력을 가진 사람이 증가하여 두창이 유아기전염병으로 점차 전환되면서 두창에 대한 이해는 부모의 자리에서 주로 이루어졌고, 그결과물의 하나가 사대부들은 〈송두신문(送痘神文)〉이었다. 〈송두신문〉은 가족 중에 두창에 걸렸다가 회복되면 두창신 전송하기 위해 짓는 글이다. 자녀의 목숨을 보존해준 것을감사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지만 이에 덧붙여 두창신을 신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가라는변증 또한 여기서 볼 수 있다.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귀신을 공경으로 섬길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는 신유학적인 귀신론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 가운데 사대부들은 두창을 어린 아이가 어른으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관문으로 간주하고, 이 관문을 잘 통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귀신으로 두창신을 이해하였다. 두창신을 보내는 의식은 이 공로에 대한 감사였고, 이 감사의 의식을 통해서 일상은 다시 회복되었다. 이러한 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대부들은 두창신을 보내는 의식을 수용하여 거행하였다. 마마 배송굿 또는 손님굿으로 알려진 두창신의 전송의례는 무당에 의해 주도되었다. 그러나 사대부들은 무당을 배제하고 송두신문을 읽으며 두창신을 전송하였다. 이러한 두창신의전송 의식은 궁궐에서도 거행하여 그 의식을 자세히 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Joseon Literati’s responses to and understanding of smallpox, which was one of the prevalent diseas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smallpox spirit. The Joseon literati believed that the best way to avoid smallpox was to evacuate to a safer place. While there were cases where people risked their lives to hold their parents’ funerals, most literati performed minimal rituals under evaluation and in isolation. This was possible through the active use of shinju(神主), the ancestral tablet, and jibang(紙榜), the ancestral tablet made with paper. Another factor was a ris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became immune to the disease, and the fact that smallpox became an infectious disease that mostly affected infants and children. Under such changes, parents began to form an understanding of smallpox, which led to the literati to write Songdushinmun(送痘神文).
    Songdushinmun was a type of writing addressed to the smallpox spirit once a family member suffered and overcame smallpox. It was mostly a note of gratitude for saving the life of one’s child, but it also led to a question of whether the writer accepted the smallpox spirit as a god. In the background of the discussion on whether a spirit that gave people diseases should be revered was the Neo-Confucian discourse on ghosts and spirits. Amid such discourses, the literati considered smallpox to be a necessary rite of passage for a young child to become an adult, and understood the smallpox spirit as a ghost that helped the children pass the rite. The ritual of sending away the smallpox spirit was an expression of gratitude toward such help, and normalcy was recovered through this ritual of gratitu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종교문화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