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수와 수운의 정의 사상 비교: 정의사상을 통한 두 이야기의 합류 (A Comparison of the Thought of Justice in Jesus and Soowoon: A Confluence of the Two Stories by the Conception of Minimal Justic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5.03
35P 미리보기
예수와 수운의 정의 사상 비교: 정의사상을 통한 두 이야기의 합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68호 / 70 ~ 104페이지
    · 저자명 : 권진관

    초록

    이 논문은 동서양의 대표적인 사회변혁 종교인 그리스도교와 동학의 시조 예수와 수운 최제우의 정의 사상을 이 두 분의 이야기들의 플롯을 분석함으로써 밝히고 있다. 플롯을 분석하면 이야기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분명해 진다는 점을 착안하여 플롯 분석을 통해서 예수와 수운의 두 이야기들을 비교하고 합류시키려고 한다.
    연구자의 연구진행방식은 우선 정의(justice)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밝히고 있다. 즉, 독일의 정치철학자 라이너 포르스트(Rainer Forst)의 최대한의 (maximal) 정의 개념에 대비되는 최소한의 (minimal), 근본적인 (fundamental) 정의 개념을 수용하고 활용하면서, 이를 예수와 수운의 이야기에 적용시켜 보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이야기 접근방법을 택하고 있는데, 특히 이야기의 갈등과 위기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이를 통해서 이야기가 우리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예수와 수운과 갈등하는 적대자들을 초인격적인 존재인 사탄과 귀신, 세상적인 권력, 그리고 민중 혹은 뭇 대중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갈등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 위기를 이야기가 어떻게 풀어나가는가에 주목하였다. 이 분석의 결과로 예수의 중심 메시지는 하나님의 나라이며, 그것의 중심에는 인간들 사이의 올바른 관계 즉 관계적 정의가 자리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와 비슷하게 수운의 이야기 속에서, 그의 중심된 사상은 시천주 사상으로서 모든 사람들이 동등하고 귀중한 존재라는 관계적 정의를 함축하며, 좀더 구체적인 관계적 정의 사상은 수운의 확대된 가족 개념에서 발견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관계적 정의는 곧 최소한의 근본적인 정의를 가리키며, 예수와 수운은 이러한 정의론에서 합일되고 있음을 밝힌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at discovering the ideas of justice in the stories of Jesus and Soowoon Choi Jaewoo, the founding fathers of Christianity and the Donghak, the religions of the West and the East respectively. It attempts at revealing the ideas of justice of the two founding teachers by analyzing the plots of the stories about them. The study compares the two stories, and at the same time finds commonalities of the two stories on the idea of justic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wo founding figures from different contexts and different languages (meaning systems), commonly held highly the relational justice as the foundation of a hoped-for society.
    The author understands that there can be two stages and conceptions of justice. They are the minimal, foundational justice and the maximal justice. He borrows these ideas from German political philosopher Rainer Forst. He applies the idea of minimal and fundamental justice to Jesus and Soowoon, and sees if the two religious leaders had such an idea of justice in their own teachings. He employs the method of narrative analysis in order to make clear what the stories try to stand for. He believes that exposing the conflicts and suspenses of the stories can help clarify the main messages of stories.
    The study analyzes conflicts of Jesus and Soowoon respectively with superhuman powers such as Satan and evil spirits, worldly powers, and the multitude. It keeps eye on how the narrators deal with and resolve the suspenses and conflicts in the stories. As a result, the study arrives to the fact that the key of Jesus’ teachings is the Kingdom of God, where the right relationship or relational justice among individuals and groups is at the center. Very similarly, in the stories of Soowoon, the study concludes, the idea of Shichonjoo(Attending the Heaven) makes all people, regardless of sex, age, status, and classes, equally regarded as esteemed humans. Soowoon’s thought of the extended family to cover all people and especially all the believers of the Donghak religion can be seen as concretely promoting the relational justice among people. In conclusion, the author claims that the idea of minimal justice is definitely at the center of the teachings of the two great religious lead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