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도 고행론의 맥락에서 본 불교의 두타행(頭陀行) (A Study of the Dhūta of Buddhism : with special reference to Indian Asceticism.)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2.06
41P 미리보기
인도 고행론의 맥락에서 본 불교의 두타행(頭陀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32호 / 207 ~ 247페이지
    · 저자명 : 양영순

    초록

    본고는 출가수행주의 전통을 발전시켰던 불교의 수행 덕목 중에서도 가장 전통적이며 중요한 덕목인 두타를 인도 고행론의 맥락에서 고찰함으로서, 불교 두타행의 특징들을 불교 밖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두타란 출가 수행자들이 일반적으로 의식주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끊는 행위로서, 수행에 전념하기 위한 고행의 일종이다. 이는 불교 뿐 아니라 자이나교와 같은 슈라마나 종교, 더 나아가 브라흐마나의 수행전통에서도 나타난다. 그러나 고행 수행을 대표하는 용어로서 ‘두타(dhūta, dhuta)’를 강조하고 두타행으로 정형화시킨 것은 불교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이다. 한편 고행주의 전통이 더욱 엄격했던 자이나교에서도 두타라는 용어가 있었지만, 불교처럼 중시되지는 않았다.
    자이나교와 마찬가지로 힌두교에서도 두타보다는 고행을 뜻하는 타파스(tapas) 라는 용어가 통용된다.
    Ⅱ장에서는 우선 고전 인도의 고행론을 고찰하였다. 고행의 대표적 개념인 tapas의 의미 변천사를 검토하여 두 차원의 타파스를 도출하였다. 즉, 세속적인 목적의 타파스(고행)와 출세간적인 목적의 타파스이다. 특히 이 후자는 자이나교와 불교에서 나타나는 출가 수행주의와 맥을 같이 하므로, 이 경우의 acesticism은 ‘수행주의’로 명명하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불교와 함께 슈라마나 종교이면서도, 대표적인 고행주의 종교인 자이나교의 고행론 고찰을 통해 자이나교의 타파스(tapas)와 두타(dhūta) 개념을 고찰한다. 그러나 자이나교에서는 타파스 뿐 아니라 자제(Saṃyama)와 차단(Saṃvara)의 수행 이론이 발전되어 두타의 개념을 포괄하고 있다. Ⅳ장에서는 불교의 두타개념과 12 두타행을 고찰하였으며, Ⅴ장에서불교 두타행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불교 두타행은 인도 전반적인 고행주의 가운데 출세간적인 고행주의 즉, 수행주의에 있다. 둘째, 불교의 두타행은 나체 수행을 행한 자이나교와 비교할때 ‘衣두타행’의 항목이 발전하였다. 셋째, 불교 두타행에서 떨치고자 하는 대상이 ‘심리적 번뇌’인 반면, 자이나교의 두타행 및 고행의 목적은 ‘실체적 카르마의 정화와 소멸’에 있다는 점이다. 특히 자이나교에서 수행의 핵심 과제인 업장(業障) 소멸이라는 문제는 초기부터 후대까지 중요하게 강조되어 이론화되어 있는 반면, 불교에서는 이후에 업장소멸이라는 문제가 다시 소환되어 수행론화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paper will examine the practice of dhūta(頭陀行) in Buddhism in relation to the asceticism of In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dhūta practice in a broad context outside of Buddhism.
    Dhūta is an act of renunciation and cessation of obsession with food, clothing, and shelter by an ascetic in general. It is a form of asceticism to devote to the practice. It appears not only in Buddhism but also in Brahmanism and other religions such as Jainism. However, the emphasis on ‘dhūta’ as a term representing the practice of ascetic practice and the standardization of it as a form of dhūta is a character that appears only in Buddhism. However, in Jainism, where the asceticism tradition was more strict compared to Buddhism, the term dhūta was not without importance as in Buddhism. Like Jainism, Hinduism also uses the term tapas, meaning asceticism rather than dhūta.
    To this end, Chapter II first examines the classical Indian theories of penance.
    Examining the history of changes in the meaning of tapas, a representative concept of asceticism, and the types of asceticism. Chapter Ⅲ examines the concepts of tapas and dhūta in Jainism by examining the penance theory of Jainism, which is a religion of Shuramana along with Buddhism but also a representative ascetic religion. Chapter Ⅳ examines the Buddhist concept of dhūta and various acts of dhūta and compares it with the concepts of tapas and dhūta in Jainism.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dhūta practice can be derived as follows.
    Firstly, the Buddhist Dhūta is in the context of Asceticism which seeks liberation among the Asceticism of India. Secondly, compared with Jainism, which practised nude practices, the category of ‘cloth-dhūta(衣頭陀)’ is developed in Buddhism. Thirdly, while the object that Buddhist dhūta practice seeks to overcome is ‘psychological defilement’, the purpose of Jain's penance practice is to ‘purify and annihilate material karma.’ In particular, in Jainism, the problem of the extinction of karma, which is the core task of practice, has been emphasised and theorised from the beginning. Whereas in Buddhism, the problem of extinction of karma has been recalled and theorised la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