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自我와의 疏通 -자신의 내면을 향한 두 가지 목소리- (Communication with the Ego -The two voices to inner side oneself-)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5.12
28P 미리보기
自我와의 疏通 -자신의 내면을 향한 두 가지 목소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65호 / 29 ~ 56페이지
    · 저자명 : 강민구

    초록

    본고는 自警, 自誡류와 自贊 그리고 自笑, 自嘲류의 글에서 이루어진 자아와의 소통 양상을 분석하여 현대인에게 바람직한 자아와의 소통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고려의 李奎報, 조선 중기의 申欽, 조선 후기의 宋時烈, 尹愭는 당대의 문인으로서 대표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自警, 自誡류와 自贊 그리고 自笑, 自嘲류의 3종류 글 중 2가지 이상을 창작하였다. 이들 3가지 글을 동시에 살펴본 이유는, 그것들의 기능이 본원적으로 다르기에 그 형식과 내용도 명백히 구분되지만, 뛰어난 사상가와 작가들은 문체적 규범을 넘나들며 자신의 내면과 진솔하게 소통하는 면모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李奎報는 「自誡銘」에서 말조심할 것을 원론적, 관념적 차원을 넘어 당부하였다. 그리고 「自嘲」, 「自贊」에서는 자신의 단점을 통렬하면서도 해학기 넘치게 폭로함으로써 웃음으로 승화시키고 발전적 전기를 마련하였다. 「頭童自嘲」에서는 대머리에 배만 볼록하게 나온 자신의 무능을 통렬하게 비난하고 있지만, 그런 모습을 바라보는 시각은 따스하다. 반면 「丁而安寫予眞, 自作贊.」에서는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며 좀 더 관조적이고 냉정한 어조로 자신의 존재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申欽은 「自贊」에서 정신적 지향과 염원을 말하는데 주력하였다. 이는 몸은 현실에서 격리되거나 무리에서 고립되지 않으면서도 절대적 자유를 구가하고 싶었던 신흠이 스스로에게 주는 理想이라고 할 수 있다. 신흠은 평소뿐만 아니라 고난 속에서도 玄妙한 경지에서 노닐고 싶었기에 혼탁한 세상과 시련으로부터 초탈할 수 있었다. 또 「玄翁自贊」에서는 자신의 초라해진 모습을 보고는, 참된 자아를 지켰기에, 그 역시 진정한 자아라고 스스로를 일깨우고 있다.
    宋時烈의 「又自警求訂」은 말을 할 때 두려워하고 삼가며 진심을 다하라고 다짐한 글이다. 또 「自警吟 丙寅」은 고집스러운 소신 때문에 불화와 반목이 야기된 것에 대하여 스스로에게 깊은 회한을 말한 글이다. 송시열은 치열한 논쟁의 중심에 서 있었기에, 그와 같은 다짐과 회한은 결코 공허한 말이 아니었다. 그리고 「自警吟」에서는 노년에도 정진할 것을 스스로에게 당부하였다. 「自警吟 丙寅」과 「自警吟」은 모두 自警을 표명하고 있지만 내용상으로는 自嘲나 自笑의 성격이 강하다.
    尹愭는 빈한하고 出仕가 늦었을 뿐 아니라 宦路도 험난하였는데, 자신을 돌아보고 격려함으로써 시련과 맞섰다. 그는 「自警」에서 자신을 돌아보며 통렬히 반성하는 한편 자신을 준엄히 警戒하였다. 그의 「자찬」은 자조적으로 보이지만, 자위적인 동시에 자부심마저 풍긴다. 또 「照鏡自贊」에서는 비록 자신이 中行의 경지에는 도달하지 못하였지만 狷者의 수준에는 도달하였다고 자부하였다. 윤기는 자신의 열등감을 진솔하게 표출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신과의 소통에서 건강성을 획득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compiled for suggesting the desirable method of communication with the Ego to modern people, through analysing aspect of communication with the Ego in the texts of self-warning, self-discipline type and self-admiration type and smiling self-deprecatingly, self-mockery type.
    Not only did Goryeo Lee Kyu-Bo(李奎報),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Sin- Heum(申欽), the late Joseon Dynasty Song Si-Yeol(宋時烈) and Yoon-Ki(尹愭) have representativeness as writers of the day, they wrote more than two works among three varieties of self-warning, self-discipline type and self-admiration type and smiling self-deprecatingly, self-mockery type. The reason why this paper examines these three texts at once, the form and content were clearly divided because of the fundamentally different function, but the outstanding thinker and writers honestly communicated with their inner side, crossing the style of writing standard.
    Lee Kyu-Bo(李奎報) requested to be careful of one´s speech beyond the theoretical and ideological level in 「Jagyemyeong(自誡銘)」. In 「Self-mockery(自嘲)」 and 「Self-admiration(自贊)」, he sublimated with a laugh and prepared developmental turning point by scathingly and humorously exposing his flaws. He severely criticized the incompetence of him who had a bald head and potbelly, but his perspective on such feature was warm in 「Dudonggago(頭童自嘲)」. On the other hand, in 「丁而安寫予眞 自作贊」, he talked to his existence with a little more contemplative and calm tone, looking at his figure himself.
    Sin-Heum(申欽) concentrated on telling the psychological aim and desire in 「Self-admiration(自贊)」. It is an ideal that he gave himself who wanted to sing the praises of absolute liberty without not being isolated from the reality and group. Because he wanted to take a stroll on the profound realm in trouble as well as in usual, he could transcend from the corrupt world and ordeal. Also, in 「Hyeonong Self-admiration(玄翁自贊)」, he awakened himself that was true self too, looking at his humbled figure and then he maintained the his real ego.
    Song Si-Yeol(宋時烈)’s 「Wuzhagyeonggujeong(又自警求訂)」 is the article of pledge that when you speak, be afraid of, be careful in and fulfill sincerity. Also, 「Jagyeongeum Byoungin(自警吟 丙寅)」 is the article of deep remorse that he talked to himself about the discord and enmity which were caused because of stubborn conviction. Because he had been in the center of fierce arguments, such pledge and remorse were not empty words. And in 「Jagyeongeum(自警吟)」, he requested to devote himself even in old age. 「Jagyeongeum Byoungin(自警吟 丙寅)」 and 「Jagyeongeum(自警吟)」 all expressed ‘Self-warning’ but they were more of the ‘Smiling self-deprecatingly’ and ‘Self-mockery’ in substance.
    Though Yoon-Ki(尹愭) was poor, also his government service and government position were late and rough, he opposed the ordeal by reflecting and encouraging himself. In 「Self-warning(自警)」, he bitterly reflected himself, meanwhile, he sternly took warning. His 「Self-admiration(自贊)」 is self-mocking but it gives off self-preserving and pride. He obtained health in communication with the ego, through honestly expressing the sense of inferio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