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쟁을 기억하는 두 가지 방식 -하근찬의 전쟁서사 연구- (Two Ways of Remembering War-War Epic of Ha, Geun-Cha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09.12
40P 미리보기
전쟁을 기억하는 두 가지 방식 -하근찬의 전쟁서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42호 / 397 ~ 436페이지
    · 저자명 : 이정숙

    초록

    이 글은 하근찬이 지속적으로 형상화해온 두 전쟁, 즉 한국전쟁과 태평양전쟁의 서사를 기억의 관점에서 비교하기 위해 쓰였다. 한반도에서 일어난 두 전쟁은 집단기억을 공유하는 주체가 누구인가(남한/북한, 한국/일본)에 따라 그 공동체의 규율로 관리되어 왔다. 한국의 전후 국가 재건과정에서 두 전쟁은 민족수난사라는 동일한 지평에서 역사화 되었다. 그리고 두 전쟁을 민족수난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시각은 오늘날 하근찬의 전쟁서사를 자리매김하는 데도 여전히 유효하다. 이 글은 이러한 시각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했다.
    개인의 기억은 집단이라는 사회적 구성 틀 안에서만 매개될 수 있다. 특히 전쟁기억은 전쟁을 역사화 하는 과정에서 집단정체성의 동의를 요한다. 하근찬은 두 전쟁을 경험한 실존적 감각으로 자신의 체험을 기억내러 티브로써 서사에 배치하는 전략을 구사한다. 이때 두 전쟁은 서로 다른 시간적 거리를 두고 각각 순차적으로 기억됨으로써, 그리고 기억방식의 차별화를 통해 동일하지 않은 전쟁표상과 거기 각인된 상이한 정체성의 서사를 보여준다. 한국전쟁 서사는 전후 남한의 집단기억과 길항하는 기억투쟁의 양상을 띠며 민족이라는 단일한 정체성으로 수렴되지 않는 다양한 경험적 주체를 보여준다. 일상이 곧 전장이었던 한국전쟁서사가 ‘분유’의 윤리를 서사계기로 삼고 있다면, 태평양전쟁 서사는 후방의 식민주의 제도와 방식을 주로 문제 삼음으로써 타자를 겨냥하는 데 치중한다. 이 때문에 태평양전쟁 서사는 집단이야기로서의 기능기억과 일치하는 면모를 보이지만 기능기억의 틈 사이로 식민지경험의 혼종성을 자각함으로써 기억윤리의 문제를 열어 보인다. 이로써 두 전쟁은 인식론적으로 서로 다른 지평에서 소환되고 있음이 드러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ims to compare two war-epics of Korean War and
    Pacific War, which have been continuously figured by Ha
    Geun-Chan, from the standpoint of ‘Remembrance’. The two
    wars has been managed by the rule of the community who has
    the group remembrance, i.e. South-Korea versus North-Korea and
    Korea versus Japan. Also, the two wars were historicized on the
    same horizontal boundary named national sufferings during the postwar
    reconstruction of Korea. The viewpoint of national sufferings is
    still valid in the present time for positioning the War Epic of Ha
    Geun-chan, and this paper starts from the question about that
    standpoint.
    Personal memory can emerge only in the social frame of
    group. Especially, the memory about the war requires agreement
    of communal identity in the process of historicizing the war. Ha
    Geun-Chan uses the positioning strategy that is ‘Memory Narrative’
    in the epic by arranging autobiographical experience with the
    existential sensibility which he gained through the war. In the
    meantime, according to the wars were remembered at a distance
    of time but in order, and through the differentiation of memory process, it shows different representation of war and carved epic
    of variant identity on it.
    In this process, the epic of Korean War assumes an aspect of
    ‘remembrance-strife’ contending against communal memory and
    shows various empirical identities which is not collected as a
    sole identity of a nation. The Korean War Epic named ‘ordinary
    day is the war’ adopts the recollecting morality of ‘Partage’, in
    comparison, Pacific War aims the others by raising the question
    on the rear colonial regime and way. It is the reason why the
    epic of Pacific War keeps the aspect corresponding to the intentional
    memory as a group story, but at the same time, shows the matters
    of recollecting morality through the crack of intentional memory
    by awakening its hybridism of colonial experience. Consequently,
    it reveals that the two wars are epistemologically recollected
    from different horiz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