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란가사에 나타난 두 가지 세계인식 (Two World Views Revealed in Jeolan Kasa(戰亂歌辭))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5.07
30P 미리보기
전란가사에 나타난 두 가지 세계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44호 / 63 ~ 92페이지
    · 저자명 : 이재준

    초록

    본고는 전란가사에 나타난 세계인식의 경향을 살펴보려고 했다. 이를 위해 왜란을 다룬 가사와 호란을 다룬 가사라는 두 가지 범주를 설정해 양측의 문제의식과 대응방식을 비교⋅대조해 보았다. 왜란가사는 상대를 절대부정의 배타적 집단으로 관념화하고, 구성원 각자의 도덕적 각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반면 호란가사 「병자난리가」는 상대의 실제적인 힘을 용인하고, 그에 대한 구성원들의 올바른 선택과 판단을 요청했다. 결국 왜란가사와 비교했을 때, 호란가사 「병자난리가」는 관념적 세계해석의 탈각, 수기와 치인⋅인성과 천명의 분리, 왕의 능동적 정치행위 자각과 같은 사고체계의 전환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이러한 전환의 배경에는 기존의 제국질서 및 사회운영원리의 균열이라는 대내외적 이상 징후가 자리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렇게 달라진 세계인식은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우리에게 두 가지 생각할 지점들을 제공해준다. 첫째, 조선사의 기술에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은 ‘임⋅병 양란’으로 통칭되는 것에서 보듯 단일한 구조와 성격의 사건으로 해석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런데 앞서 확인한 변화상들이 종래 정치⋅역사적 차원에서 조선후기를 설명하는 증표들로 논의되어왔던 것이 사실이고 보면, 해당 분석 결과는 적어도 인식의 측면에서는 양란을 분리해서 바라볼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임란 후 어느 시점까지는 여전히 균열보다는 통합과 안정에 대한 믿음이 우세했음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 시가 연구와 관련해서는 17세기 가사의 존재 문제를 다시금 환기하고 있어 또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본다. 「병자난리가」의 경우, 17세기 가사가 전대 가사와 구분되는 변화와 갱신의 지점을 함의하고 있다는 주장들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 또 하나의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paper tried to identify world perception trend which appeared in Jeolan kasa (Korean war verses). For this, two categories of verses treating Waeran(倭亂) and Horan(胡亂) were established and critical mind and responding method in both verses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Waeran Kasa(倭亂歌辭) conceptualized the enemy as an exclusive group we should negate absolutely, and tried to solve the problem by moral awakening. On the other hand, Horan Kasa(胡亂歌辭: 「Byeongjanaliga」丙子亂離歌) acknowledged real power of the enemy, and demanded the Korean people to have proper choice and judgement. Compared with the case of Waeran Kasa, we can identify the conversion of thinking system such as escape from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world, division of self-cultivation(修己) and governing People(治人), and of human nature(人性) and heavenly mandate(天命), and demand of active behavior of the king, in 「Byeongjanaliga」.
    At this changing background, internal and external unusual symptoms were located which was existing imperial order and society operation principle. And, that changed world perception gives us the two points to think socio-cultural level. First, Imjin War(壬辰倭亂) and Manchu War(丙子胡亂) in Joseon history(朝鮮史) description have the tendency to be interpreted as the accidents with single structure and character as it is commonly called as ‘Im and Byung, both wars(壬丙兩亂)’. Considering the truth that precious changes which were identified earlier have been discussed as the proofs to explain late Joseon at the levels of previous political and historical level, it is considered that relevant analysis results are raised the necessity at least to look at both wars separately from the perception viewpoints. It means it would be necessary to note that the belief about integration and stability has been still dominating until the certain point of time after Imjin War. Second, verse research arouses the existence of 17th century again and it also shows important meaning. The case of 「Byeongjanaliga」 could be considered as another background to empower the assertion that 17th century verses imply the points of changes and renewal which are separated from previous generation ver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