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라깡의 ‘두 죽음 사이’와 영화 <곡성> (Lacan's Between the Deaths" and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8.10
25P 미리보기
라깡의 ‘두 죽음 사이’와 영화 &lt;곡성&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영화연구 / 11권 / 1호 / 35 ~ 59페이지
    · 저자명 : 강성한

    초록

    고전할리우드 영화의 속견은 마치 사회적 선(善)에 연결된 심리적 쾌락을 상품화시킴으로써, 즉 영혼의 안락함을 상품화함으로써 관객을 자신의 무의식으로 접근할 기회를 차단하는 반면에 영화 <곡성>은 은폐된 장소이며 프로이트가 무의식이라고 명명한 장소를 가리킨다. 이 영화는 선의 이데아가 가진 은폐된 환영적 속성을 드러낸다. 죽음충동은 선(善)의지보다 선재하며 근본적이다. <곡성>은 이미지의 관찰자 또는 관객의 위치에 고정된 관념을 파괴하는 새로운 관점의 대립이 발생함으로써 관객을 혼동에 빠뜨린다. 상징계에 균열을 도입하는 ‘대상 a’라는 ‘미끼’가 작동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실재와의 만남을 예고한다. 외부로부터의 억압에 대한 저항에서 훨씬 더 세련되고 진보된 철학적인 자기 정체성과 내부의 억압에 중점을 둔 이야기를 시작한다. 영화라는 허구의 공간에 던져진 ‘대상 a’라는 ‘미끼’는 무엇을 겨냥하는가. 미끼를 둘러싼 ‘덫’이라는 또 다른 영화적 허구가 ‘섬뜻함’을 자아내는 실재의 흔적을 드러낸다. <곡성>은 두 개의 플롯과 두 개의 주제를 주조해 나간다. 상징계와 실재계 그리고 사랑과 증오이다. 두 축은 대립되면서, ‘공백이라는 유령’의 등장으로 인한 첫 번째 죽음과 두 번째 죽음 사이에서 들려오는 ‘곡성(哭聲)’을 해명한다. 곡성이라는 하나의 기표는 기표의 연쇄고리를 일거에 정지시킴으로서 우리에게 한계와 가능성의 장소를 보여준다. 등장인물들에게 주어진 언어의 제국은 외부에 대한 상상을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장려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유한성을 강화한다. 영화 <곡성>의 생산물에서 표현되는 좀비는 주체의 불안과 공포가 극대화하는 곳이다. 상징계의 질서가 흔들리는 곳, 인간과 비인간, 삶과 죽음의 경계 사이가 교란되는 장소로 읽혀진다. 좀비는 오로지 고집스럽게 지속되는 충동의 차원에 머무르는 것이다. 좀비는 ‘죽음충동’의 관념을 가장 강하게 노출한다. 그 곳에는 현존하는 지식과 논리의 체계를 벗어난 욕망은 자신을 설명할 현재의 합리적 언어를 갖지 못한다. 영화속의 ‘곡성’-공동체는 ‘절망’이라는 단어가 상상할 수 없었던 역설적 공동체를 구성한다. 이러한 공동체는 인간에 대해서 규정된 모든 편견으로부터 마음을 닫는 공동체이며, 도래할 규정, 언제나 새롭게 창조되어야 할 인간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욕망하는 공동체이다. 영화 <곡성>은 자신의 주어진 조건들에 대한 사랑이 아닌, 알려지지 않은 가능성에 대한 사랑의 절차를 투영하고 있다.

    영어초록

    Whereas the classic Hollywood movie's conventional wisdom is to commercialize the psychological pleasures linked to social good, or to commercialize the comfort of the soul, the movie "Geokseong" is a hidden place, while blocking the opportunity to approach the audience with unconsciousness. The film reveals the hidden, welcoming qualities of Sun Ethea. The death impulse is more innocent and fundamental than good will. <Geokseong> is confusing the audience with a new perspective that destroys the notion fixed to the position of the observer or audience in the image. This is because 'target a' that introduces cracks in the symbol system works. It heralds a meeting with the real world.
    It begins with a story that focuses on much more refined and advanced philosophical self-identity and internal repression in resistance to external oppression. What is the target 'target a' in the fictional space of the movie? Another cinematic fiction surrounding the bait reveals the real evidence of "warmness." "Geokseong" casts two plots and two themes. The symbolism, the real world, and love and hate. As the two axes conflict, they explain the "culture" that is hear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eath due to the appearance of the "blank" ghost. One sign of curvature shows us a place of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by stopping the chain links on the sign at once. The empire of the language given to the characters does not ban imagination to the outside, but rather enhances its own finiteity in a way that encourages it. Zombies, expressed in the production of the film <Geokseong>, are the places where the main body's anxiety and fear are maximized. It is read as a place where the order of the symbolism is shaken, where the boundary between human and non-human, and life and death is disturbed. Zombies are all about staying in a persistent state of impulse. Zombies have the strongest exposure to the notion of death impulse. There, desire outside the existing knowledge and logic system does not have the current rational language to describe itself. The "Geokseong" in the movie - the community forms a paradoxical community where the word "death" was unimaginable.
    Such a community is a community that closes its mind from all the prejudices prescribed for human beings, and a community that desires the coming rules, always the new definition of human beings to be created. The film, "Geokseong," projects a love process for unknown possibilities, not love for his given condi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