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창호의 대공주의에 관한 두 가지 쟁점 (Two Issues about Ahn Chang-ho’s Daegongism(대공주의))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8.02
33P 미리보기
안창호의 대공주의에 관한 두 가지 쟁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61호 / 187 ~ 219페이지
    · 저자명 : 박만규

    초록

    민족운동 지도자 안창호의 대공주의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그 개념과 삼균주의와의 관계를 두고 약간의 이견이 있어왔다.
    우선 그 개념에 관한 이견은 대공주의의 복합적 특성 때문에 연유한다. 안창호의 대공주의는 하나의 정치사회 사상이면서도 다른 정치사회 사상들과 비교해 볼 때 매우 다른 면을 갖고 있다. 즉 크게 보면 경세론적 측면과 인생론적 측면을 아울러 갖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런데 인생론적 측면도 윤리적 내용과 정신적 내용으로 다시 구분해 볼 수 있다. 즉 대공주의는 세 가지 측면의 내용을 함께 포함하고 있는 점이 그 특징인 것이다. 애국애족적 가치관을 강조하는 윤리적 측면과 통일단합적 태도를 요청하는 정신적 측면과 사회민주주의적 사회상을 말하는 경세적 측면이 그것이었다.
    이 같은 복합적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대공주의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각에 따라 각기 어느 한 측면 혹은 한 부분만이 보이거나 또는 두드러져 부각될 수 있었다. 지금까지 안창호의 대공주의에 대한 개념을 두고 약간씩 다른 의견이 있었던 것은 이런 연유에서였다.
    다음으로, 안창호의 대공주의와 조소앙의 삼균주의의 관계를 두고 드러난 다른 인식은 그 기준의 차이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사회민주주의 사상의 형성 시점을 기준으로 말하면 그것은 분명히 조소앙이 앞섰다. 그는 3·1운동 이전에 이미 사회민주주의적 사상을 배태하고 있었고 그것을 발전시켜가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민족운동사에서 사회민주주의가 의미를 갖게 된 것은 1930년 초 비로소 한국독립당이 강령을 채택하면서부터였다. 그런데 한국독립당의 당의·당강은 안창호의 반일독립과 민주건국의 정신, 즉 대공주의가 반영된 것이었다. 이는 조소앙을 포함한 당시의 독립운동가나 중국국민당 측이 공통적으로 다 인정하는 사실이었다. 이 같은 안창호의 생각은 그 후 민족주의 각 정당들과 임정을 포함한 독립운동계에 공통으로 계승되고 발전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조소앙은 가장 크게 기여하였다. 그는 특히 독립 이후 국가건설의 방향과 내용을 구체화하고 이를 삼균주의라고 명명하기에 이르렀다.

    영어초록

    As for Daegongism of Ahn Chang-ho, a national movement leader, there are two disagreements, one is on its concept and the other is its relation with Samgyunism.
    First of all, disagreement on the concept stems from complex nature of Daegongism. Ahn Chang-ho’s Daegongism is different from other political-social thoughts in that it has another aspect as well. That is, it has contents of both political-social view and life view. In addition, his life view aspect could be further divided into ethical aspect and spiritual aspect.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Daegongism is that it includes the contents of three aspects: ethical aspect emphasizing patriotic values, spiritual aspect stressing unified attitude, and political-social aspect advocating social democratic society.
    Because of its complex nature, only one aspect of Daegongism could be seen or emphasized according to the point of view. This is so far the reason why there have been slightly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concept of Ahn Chang-ho’s Daegongism.
    Second, a different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hn Chang-ho’s Daegongism and Jo So-ang’s Samgyunism is due to the difference of focus. Jo So-ang was ahead in terms of formation of social democratic thought. He had already had a social democratic thought in his mind even before 3·1 movement, and was developing it. However, it was not until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adopted the code at the beginning of 1930 that social democracy achieved any meaningful importance in Korean national movement history.
    The code of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reflected Ahn Chang-ho’s spirit of anti-Japanese and Independence as well as Democratic Nationbuilding, i.e., Daegoingism. It was a commonly accepted fact by both independence activists including Jo So-ang and the Chinese nationalist party at that time. Ahn Chang-ho’s ideas were succeeded to independence activists includ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nationalist parties, and So-ang contributed the most in the process. In particular, he developed and specified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the nation building after independence, and named it as Samgyu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