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관왕묘 향유의 두 양상 (Two Aspects of the Meaning of the Shrine of Guan Yu in Late Joseon Dynast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6.12
31P 미리보기
조선 후기 관왕묘 향유의 두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49호 / 501 ~ 531페이지
    · 저자명 : 김지영

    초록

    조선에서 관우를 기념하는 사당[關王廟]이 처음 생긴 것은 임진왜란 때였다. 그러나 거의 100년 동안 관우의 영험함을 빌려 개인적 복을 구하는 사람들만 즐겨찾는 장소였다. 선조가 처음 이 곳을 찾을 때 왕이 무묘에 찾아가는 예를 차용했고, 이후 국가 祀典에 포함되어 제향이 이루어졌지만 그 제향이 갖는 국가적 의미는 불확실했다.
    이 장소는 숙종대에서 정조대에 이르는 동안 국가적으로 새로운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숙종은 관우를 忠義와 尊周의 아이콘으로 해석해냈다. 당시 왕조의 수복을 위해 노력하며 時勢보다는 정의正義를 중시했던 촉한을 가장 정통성이 있는 나라로 여기는 ‘촉한정통론’의 역사의식은 『삼국지연의』라는 책을 통해 조선에 더 널리 퍼졌다. 숙종은 관우의 충성심을 군주에 대한 맹목적인 충성심이 아니라 국가를 넘어서 보편적인 정의를 지향하는 차원에서 재정의했다. 관우는 단지 무력이 뛰어난 무장이 아니라 『춘추』라는 책을 즐겨 읽었던 정의로움을 위해 목숨을 바칠 수 있는 장수였고, 시대를 뛰어넘어 기억할 만한 ‘武의 상징’이 될 수 있었다.
    영조와 정조는 관왕묘를 조선의 무묘로 정립시켰다. 숙종과 마찬가지로 관우를 형세에 굴하지 않고 오롯이 漢 왕조의 회복을 위해 몸바친 이로, 춘추 의리의 상징으로 기념했다. 무묘에서 절하는 무장들과 군사들에게 관우를 본받아 무력이 사적 이익과 權勢를 위해서가 아니라 정의로운 나라를 세우고 보전하는 데에 쓰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 숙종~정조에 이르는 시기는 군사 방면의 업적이 조선의 어느 시기보다도 두드러진 시기였다. 왕조는 의리에 바탕한 무의 상징으로 관우를 재정립시키며 그의 사당에서 조선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무’를 설득했다. 내부로부터 신뢰를 쌓아가는 정치로 관왕묘에서의 설득에 설득력을 더하는 일은 왕조의 몫이었다. 19세기 역사 속에서 관왕묘 의례는 지속되었지만, 관왕묘의 18세기적 상징성은 점차 희미해졌다. 관왕묘는 다시 사적인 무당집으로 변해갔고, 끝내는 국가가 스스로 관왕묘를 왕실의 안녕을 위해 맹목적으로 기도하는 장소로 만들었다. 관왕묘는 더 이상 국가의 안위와 무관한 공간으로 전락했다.

    영어초록

    The shrine of Guan Yu[關王廟] was built during Imjin War in Joseon Dynasty. However, for nearly hundred years, anyone looking for their own fortune could enter this place. During the period of Sukjeong to Jeongjo, this place could nationally have new meaning. Sukjeong interpreted Guan Yu as an icon of loyalty and appraise to Zhou dynasty[尊周]. The historical sense of ‘Shu Han orthodox theory[蜀漢正統論]’ -which regards Shu Han as the state having the most legitimacy- permeated through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Sukjeong redefined the loyalty of Guan Yu as universal justice beyond nations, not as the obligation to monarch. Guan Yu was not only a general who was armipotent but also a general who enjoyed reading “Annals of Spring and Autumn” and could give his life for justice. He could be acknowledged as the symbol of military power transcending times.
    Yungjo and Jeongjo reformed shrine of Guan Yu as temple of military. They commemorated Guan Yu as the general who devoted himself to the recovery of Han dynasty without submitting to the situation and power- the symbol of loyalty. They tried to manifest that military power should be used to found and preserve righteous country through the temple, the same as Sukjeong. In the period of Sukjeong to Jeongjo the military capability of Joseon was remarkable than any other period in Joseon. The dynasty convinced a desirable ‘military power’ in the shrine of Guan Yu by redefining him as a symbol of military power based on loyalty. Though the ceremony of Guan Yu lasted in 19th century, the symbolical meaning of 18th century became faint. The shrine of Guan Yu again changed to shaman house, and at last, the dynasty itself made the shrine where they pray blindly for the stability of royal family. The shrine of Guan Yu was no more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