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두포전」 연구 (The study of Du po Je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8.06
31P 미리보기
「두포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아동문학연구 / 34호 / 119 ~ 149페이지
    · 저자명 : 백현주

    초록

    본고는 「두포전」이 차용한 춘천 지역 전설과 동화로 어떻게 재화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지, 그리고 작품의 시대사적 의미는 무엇인지 검토하고자 한다.
    「두포전」은 김유정의 마지막 유고작으로, 현덕이 갈무리하여 1939년 『소년』지에 5회 총 10화에 걸쳐 연재되었다. 「두포전」은 소설로 분류하여 연구되고 있으나, 본고는 아동문학 작품으로 분류하였다.
    「두포전」은 춘천 지역의 <아기장수전설>과 <장수전설>의 모티프를 차용하여 동화로 거듭난다. 동화로 재화되는 과정에서 설화적 인물은 동화적 리얼리티를 갖는 인물로 재탄생한다.
    설화에서 살해 의도를 갖는 인물들은 아동문학이라는 관점에서 징벌받기에 마땅한 인물로 바뀐다. 또한 설화에서 자아가 패하는 반면 동화에서 자아가 승리하는 플롯을 구사하였다. 그러나 설화의 초현실적 현상을 그대로 동화에 차용하였다.
    「두포전」의 시대사적 의의로는 당대 우리 사회의 식민치하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열망을 들 수 있다. 등장인물의 혈통으로 마을이 처한 고난을 해결한다는 설정은 봉건적질서로의 퇴행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수탈과 검열로 얼룩진 당대의 현실을 감안하면 오히려 「두포전」이 소설에서 제시할 수 없었던 미래에 대한 전망을 문학에 담았다는 의의를 들 수 있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how Du po Jeon adopts a transformation strategy based on a legend and fairy tale from Chun-cheon, South Korea, and what this work reveals in terms of historical meaning. Du po Jeon was Yu-Jeong Kim’s final work, completed by Hyun-Deok and published serially in the magazine So nyeon in five instalments and 10 episodes in 1939. Du po Jeon has been categorized as a novel; however, in this paper, it is considered a work of children’s literature.
    Du po Jeon was transformed into a fairy tale with the motif of “A gi-Jang su legend” and “Jang su legend” from Chun-Cheon. Through this transformation into a written fairy tale, a fictional character is recreated into a realistic character. Those with intent to murder in folk tale are altered into characters who deserve to be punished from the viewpoint of children’s literature. In addition, while ego is lost in folk tale, fairy tale constructs the plot to reveal the victory of the self. The surreal elements of the folk tale, however, are retained in the fairy tal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Du po Jeon is to reflect on the desire to overcome the reality of Japanese colonial rule at the time. The setting of the story, that a hardship in a village is overcome by the character’s blood, can be interpreted as the feudal dislocation of society. Yet, considering this painful era of exploitation and censorship, the historical meaning found in Du po Jeon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vision of futurity in literature, which was not expressed by a no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