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두 번의 전란과 두 가지 歸鄕의 서사 (Two wars and the two returning-home narrativ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8.01
26P 미리보기
두 번의 전란과 두 가지 歸鄕의 서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아시아인문융복합연구소
    · 수록지 정보 : 日本學硏究 / 53권 / 89 ~ 114페이지
    · 저자명 : 정환국

    초록

    이 글은 17세기 두 번의 동아시아 전란을 통과하며 겪은 민인들의 삶을 「최척전」과 「김영철전」을 통해서 재조명한 것이다. 종래 이 두 작품을 동아시아 전란과 관련하여 주로 가족 이산과 체험을 개별적으로 밝히거나 함께 논의하기도 했다. 그러나 여기서는 두 작품을 ‘귀향의 서사’라는 점에 초점을 맞춰 주인공의 귀환 과정과 그 현실성 및 낭만성을, 즉 같으면서도 다른 점을 밝혀 결과적으로 가혹한 민인들의 삶이 전란 속에서 여하히 굴절되었는가를 따져 보았다. 우선 「최척전」은 완벽하게 복원된 가족을 통해 역으로 이런 현실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환기시켜 준다. 이에 반해 「김영철전」은 불가항력적인 고난을 뚫고 귀환한 김영철을 통해서 현실을 받아들이기 힘들게 한다. 따라서 환상적으로 믿고자 하는 현실을 그려내거나(「최척전」), 현실로 믿어야 하나 받아들일 수 없어 환상으로 밖에 치부할 수 없는(「김영철전」) 사례라 하겠다. 즉 이들 주인공들에게 과부하가 걸린 전란 체험은 억지이거나(「최척전」), 너무 가혹한(「김영철전」) 형태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붕괴된 세계에서 개인과 가족은 오롯이 그들 자체로 당해내야만 했던 현실을 두 작품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그러나 같은 목표를 가지고 구현한 셈이다. 전란으로 인한 거대한 폭력 앞에 개인과 가족은 얼마나 초라할 수밖에 없는지, 그리고 비록 귀환이라는 희망고문을 상정하지만 그것이 얼마나 지난한 것인지 되묻고 있다 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se 「Choi Cheok Jeon」 and 「Kim Yeong-cheol Jeon」 in order to review the life of the people who had to go through 17th Century’s East Asian Wars. In relation to the Wars, these two pieces were discussed together or individually to determine family separations and war experiences. In this study, the focus is on the pieces’ returning-home narrative which helps to determine what the main characters had gone through on the way back home and how romantic and realistic those are in order to finally examine the harshness people had gone through because of the war. 「Choi Cheok Jeon」 shows a perfectly restored family which derives the thought that this fantasy could not happen in reality. On the other hand, the reflection of Kim Yeong-cheol who had been through so much hardship in 「Kim Yeong-cheol Jeon」 makes it difficult to accept the harsh reality. The first one sketched a romantic scene which people would want to believe that it is real while the second shows a case where the reality sketched is so harsh that people would want to take it as a fake story. The pieces show the reality that individuals and families had to face in a collapsed world. Both of them reached the same objective by using different ways of expression. They both were devoted to show how people stand so helpless against massive violence caused by war and they are questioning how difficult it is to reach the goal of ‘returning home’ which could only be a vain ho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