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매매문서를 통해 본 漢城府 南部 豆毛浦 소재 토지거래 양상 (Land transaction in the Hanseong-bu/漢城府 capital's Nam-bu/南部 district Dumo-po/豆毛浦 area, examined through the transaction documents of the Joseon dynasty's latter half perio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09.08
28P 미리보기
조선후기 매매문서를 통해 본 漢城府 南部 豆毛浦 소재 토지거래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35권 / 193 ~ 220페이지
    · 저자명 : 양진석

    초록

    한성부 남부 두모포의 토지문서를 이용하여 한성부내의 경작지를 둘러싸고 매매와 관련한 문제들을 다루었다. 한성부 내에는 경작이 금지되고 있었다. 그러나 목화와 미나리는 이와 같은 규정에서 제외되었다. 두모포지역에서는 예외 규정이 적용된 작물들이 재배되고 있었다.
    이 지역의 토지매매 사유는 명확하지 밝히지 않은‘사용할 데가 있어서’가 대부분이며, 가난하다거나 혹은 장사(喪)를 치르기 위한 것이 그 다음 순위이다. 그 외에도 다른 토지를 매입하기 위한 것도 있었다.
    토지를 팔고 사는 주체는 양반을 비롯한 중인 이하의 신분으로 다양하다. 이들은 대체로 토지의 가격변동을 이용하여 이득을 얻기도 하였지만, 수확된 경작물을 이용하려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고 보인다. 이 지역에서의 토지거래는 시기별로 고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매매에 영향을 줄만 한 큰 사건은 없었다. 그리고 경작지의 크기를 보더라도 몇몇 사람을 제외하고는 소규모였으며, 특수작물을 재배하는 것에 의존하였다.
    이 지역에서 토지소유자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토지를 모으려 하였다. 이는 토지간의 연접성을 높여 경작의 편의성을 꾀하려는 것이었다. 그리고 소규모의 토지를 가지고 있는 자가 많았지만, 몇몇 사람들은 보다 많은 토지를 확보하고 집적하려 하였다.
    하나의 사례를 통하여 한성부의 토지문제의 단면을 살펴보았다. 이것만으로 한성부 토지매매에 대한 성격을 진단할 수는 없다. 이는 일부의 현상을 보여주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한성부의 토지문제도 도성내의 문제에만 관심을 갖지 말고, 한성부가 관장하고 있는 모든 지역의 토지에 대하여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 글이 한성부 관련 자료의 발굴과 함께 토지문서를 이용한 연구의 대상을 확대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the issues related to the transactions of cultivated lands inside the Hanseong-bu capital city are examined, using land documents from the past regarding the Nam-bu district's Dumo-po area. Inside the capital, cultivation was generally banned, yet cotton and dropwort were rare exceptions. The Dumo-po area was where these two items were grown, namely cotton and vegetable, so we can say that the area was exempted from the above-mentioned ban.
    The reason for transacting lands in this area were mostly indicated in transaction documents pretty much vaguely, like 'for some reasons(or 'to be used for something')'. The second most frequent reason was because one was poor and had to sell it, or one had to make money to hold a funeral for a family member. And some people even chose to sell their land, only to buy a new one some place else.
    The entities who were engaged in such transactions were from various social classes, from high-class Yangban figures to people below the Jungin class. Most of them profited from the discrepancy between the selling and buying prices, but they also had their eyes upon the items that were to be harvested from lands which were on the table of transaction. Land transactions continued to take place in the area, and there were no noticeable or particular incidents that could have affected such transactions to change either in nature or in frequency. In most cases people only owned a small amount of land, and were mostly engaged in cultivating special items other then general ones such as rice.
    Land owners in this region showed the tendency of trying to acquire lands positioned in adjacent locations to the lands they already had, undoubtedly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a certain connectedness between land units, to ultimately boot efficiency and the level of convenience in their agricultural production. And some people tried to get their hands upon larger units of land compared to other people.
    In this article, the land situation in terms of ownership and transaction inside the Hanseong capital city is examined through an isolated example, which does not give us enough information regarding the whole picture, the entire situation regarding land transactions in the area. So, not only the inside of the capital but also other areas outside the capital, which can be examined through all the documents and materials that were in custody of the capital city authorities, should be surveyed and analyzed in the near future. Hopefully this article would contribute to the task of bringing new materials that could be helpful in assessing the Hanseong-bu capital situation in terms of land transactions to the surface, and to the task of expanding the boundaries of relevant researches in this area of studies using land-related document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