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西晉 杜預의 諒闇論 연구 (A Study on Du Yu(杜預)’s Argument about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Emperor’s Parents in the West Jin Period)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4.06
24P 미리보기
西晉 杜預의 諒闇論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66호 / 69 ~ 92페이지
    · 저자명 : 김선민

    초록

    ‘諒闇’이란 은나라 高宗이 父王의 죽음에 3년 동안 말을 하지 않았고(“三年不言”) 모든 정사를 冢宰에게 위임했다는 故事에서 유래한 말이다. 역사적으로 ‘諒闇’은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晉 武帝 泰始10년(274) 모후를 위한 태자의 3년상 服喪 문제를 의론하는 자리에서 두예에 의해 새롭게 조명을 받기 시작한다.
    두예의 諒闇論의 내용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은나라 고종의 ‘諒闇’은 葬事를 마치면 바로 상복을 벗는 魏晉 이후의 ‘旣葬除服’을 실천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둘째, 諒闇을 하면서 “三年不言”했다는 것은 군주 자신은 信默으로 일관하면서 일체의 정사를 冢宰에게 위임했다는 뜻으로 풀이하였다. 이러한 ‘諒闇’제를 지금 西晉에 회복해야 한다고 두예는 주장하였다.
    두예 양암론의 첫 번째인 은나라 고종의 ‘旣葬除服’설은 사실상 역사적 고증이 불가능한 두예의 억설에 불과하여 禮學者들의 의구심을 불러일으켰고, 두 번째의 총재 위임설 또한 국정 공백을 우려한 ‘旣葬除服’의 본래 취지와는 맞지 않는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고도 볼 수 있다. 더욱이 西晉은 漢 文帝 이후의 短喪制 특히 曹魏에서 비롯된 ‘旣葬除服’을 國制로 삼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예의 의론은 여러 신하들의 동의를 얻어 무제에게 제출되어 재가를 얻었다. 일각에서는 禮를 위배하고 시세에 영합했다는 비난이 일었지만, 두예는 『左傳』을 비롯한 전적에서 근거를 찾아 自說을 더욱 보강함으로써 ‘諒闇’의 역사적 실재성을 증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諒闇의 당위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두예의 양암론은 晉 武帝가 부모의 喪에 3년 동안 의식주 생활을 절제한 이른바 ‘心喪’과 비슷하면서도 본질적으로 무제의 ‘心喪’에는 없는 측면을 갖고 있었다. 3년의 거상기간 동안 信默하면서 총재에게 일체의 정사를 위임하는 輔政설이 그것이다. 군주 자신이 親政을 하면서 단순히 의식주만을 절제하는 ‘心喪’과, 군주가 3년 동안 不言하며 일체의 정사를 총재에게 위임하는 ‘諒闇’은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다. 두예는 그의 양암론에서 무제의 두 차례에 걸친 ‘心喪’을 은나라 고종의 ‘諒闇’에 비정하는가 하면 고종의 ‘諒闇’을 ‘心喪’의 실천으로 표현하기도 하면서 본질적으로 다른 두 용어를 서로 혼용하는 전략을 통해 “三年不言”의 分을 ‘諒闇’과 ‘心喪’의 名안에 슬쩍 끼워 넣는 데 성공하였다. 그 배후에는 허약한 태자를 위해 미리 輔政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해놓으려는 무제의 遠慮가 깔려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Du Yu (222-284) was involved in an argument about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emperor’s parents in 274. The matter at issue was the question of when the emperor and prince should remove their mourning clothes and what they should do for the remnant of the three-year mourning period following removal. At that time, the royal family followed the traditional system of ‘the removal of mourning dress and end of mourning for official affairs just after burial’. Only Wu-di (武帝) practiced ‘in-mind mourning (心喪)’ for the remaining three years of mourning after removal.
    Du Yu advocated two points in that argument. First, the mourning system which advocated the ‘removal of mourning clothes for official affairs just after burial (旣葬除服)’ had been an old institution from the Shang (商) period. Second, Gojong (高宗) of Shang had practiced mourning in silence for the remnant of the three-year mourning period after removal, and had entrusted the prime minister with the pull power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referred to as ‘liangan (諒闇)’. The new mourning system that combined the ‘removal of mourning clothes just after burial’ and the ‘entrustment of pull power of administration’ was prepared for the stupid Crown Prince, whom Wu-di was very worried abou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