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말선초 海印寺大藏經의 印出과 板本의 동아시아 유통 (East Asian Distribution of a printed Haeinsa Temple(海印寺) Tripitaka Korean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9.11
26P 미리보기
여말선초 海印寺大藏經의 印出과 板本의 동아시아 유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75호 / 59 ~ 84페이지
    · 저자명 : 최연주

    초록

    본고는 조선 초기 해인사대장경판의 印出 과정과 절차를 살펴보고, 국가 재정의 부담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한편 해인사대장경 版本은 주로 일본과 류큐에서 請求하였는데, 청구의 성격과 의미 그리고 유통에 대해 논의하였다.
    해인사대장경판 印出은 까다롭고 번거로운 절차를 거치기 때문에 특정 개인이 할 수 없다. 그래서 국가 및 공적 차원에서 추진되었다. 조선은 건국 직후 일본과 류큐에서 온 사신 접대와 供饌의 지출, 그리고 그들에게 하사하는 回賜 부담은 물론 僞使 접대 등으로 재정 지출이 많았다. 그럼에도 交隣外交를 유지하기 위해 정치, 경제, 문화 등 다방면으로 협조하였다. 대장경판 인출의 소요 경비와 여러 차례 반복되는 인출로 인해 국가 재정은 그 부담이 가중되었을 것이다. 동아시아의 대장경 판본 유통은 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한편 일본의 국왕과 지방 세력, 僧團과 사원 등에서 대장경 판본을 동시에 希求하여 경쟁하다시피 請求하였다. 대장경 판본을 청구함에 있어서 倭寇禁壓, 被擄人 및 漂流人의 送還 등을 거론하면서 조선을 은근히 압박하는 태도를 취하였다. 일본은 사원 창건에 따른 안치, 지배층의 조선 불교문화에 대한 관심, 戰亂 및 災難으로 황폐해진 神寺․佛閣의 재건, 영주 개인의 소유 등 다양한 목적으로 판본을 활용하였다.
    류큐는 표류인 송환 또는 토산물을 상납하면서 대장경 판본을 청구하였다. 류큐의 불교는 국가 안녕을 기원하려는 鎭護국가의 기원 성격이 강하였다. 그래서 대장경 판본의 확보가 시급하였을 것이다. 통일 왕조의 정당성 확보와 왕권강화, 불교를 통한 사상의 결집 등을 위해서 판본을 적극 활용하였다.
    조선-일본, 조선-류큐의 외교현안과 대장경 판본 청구는 서로 연계되었다. 그래서 조선 전기 동아시아에서 대장경 판본의 유통은 상업 행위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각 나라의 정치 상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nature and meaning of requesting a printed Haeinsa Temple(海印寺) Tripitaka Koreana during the exchange process with Japan and Ryukyu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printing Tripitaka Koreana must be a cumbersome and difficult process. It could not be done by individuals or groups, and was forced to pursue it at the national level. Joseon spent a lot of money on entertainment expenses for Japan and Ryukyu envoys. Although a printed Tripitaka Korean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iplomacy, they were too expensive to cover the national treasury. This may have had a huge impact on East Asian diplomacy.
    When the Japanese demanded a printed Tripitaka Koreana, he talked about the actions of pirates and the repatriation of drifters and fatigues. It was a quiet pressure on Joseon Dynasty. The request was made because of Japanese interests in Joseon Buddhist culture and the establishment of a temple. He also asked for help in rebuilding temples that were devastated by personal desire, war and fire.
    Ryukyu asked for a printed Tripitaka Koreana while repatriating souvenirs or drifts to Joseon. It was called for the reinforcement of the kingship, the unification of ideas through Buddhism,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dynasty. It is a request to prosper Buddhism and pray for national well-being.
    The diplomatic issues of Joseon-Japan, Joseon-Ryukyu and the request of a printed Tripitaka Koreana are related. In the 15th century in East Asia, the distribution of a printed Tripitaka Koreana was carried out at the diplomatic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