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82년 전후 東아시아論의 形成과 朝鮮 지식인의 反應 (The formation of East-Asia discussion around 1882and the reaction of a korean cleris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2.06
34P 미리보기
1882년 전후 東아시아論의 形成과 朝鮮 지식인의 反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51호 / 165 ~ 198페이지
    · 저자명 : 하정원

    초록

    1882년을 전후로 동아시아가 당면한 문제 해결의 위한 논의가 있었다. 이는 서세동점이라는 전지구적 사건에 대한 동아시아 삼국 나름의 자구의 시도였다. 그 당시 동아시아론의 중심 주제는 조선이었고, 이는 조선의 지리적·정세적 위치 때문이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동아시아 각국이 서세동점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극복할 수 있는 대응을 모색하여 제출한 것이 황준헌의 『朝鮮策略』이다. 1880년 황준헌에 의해 작성된 이 문건은 親中國, 結日本, 聯美國으로 구체화 되어있다. 『조선책략』의 유입으로 인해 조선 내부에서는 본격적으로 동아시아론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어 조선은 壬午軍亂(1882년)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서구주도의 근대화의 과정에 편입되었고, 이는 근대 동아시아 형성의 계기가 되었다. 淸과 日의 간섭과 상호간의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던 동아시아론은 그 목적은 달리했으나 하나의 동아시아를 구상하는 데 기여했고, 근대 동아시아의 개념을 형성하는데 일조했다.
    근대화의 과정 속에서 임오군란을 경험했던 조선 지식인들은 서세동점의 상황 속에서 자국의 생존에 대한 고민을 거듭하였지만, 제한된 정보와 외부 소통의 부재로 타자에 의해 해석된 근대를 접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임오군란기에 내방한 중국인사들을 통해 서구 주도의 근대화에 대비할 수 있는 안목을 확립하고 대응 방식을 수립하는 하나의 방편으로 삼았다. 그 과정에서 김창희는 군란 수습을 위해 내방한 중국인사들의 접빈을 맡아 이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외세에 대한 정보를 습득해 나가며 근대전환기 조선의 자구책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 결과물로 제출된 것이 『六八補』이다. 이 문건은 張謇과 李延祜의 대조선정책 보고서인 「朝鮮善後六策」과 「戎幕十議」에 대하여 조선의 실정에 맞추어 보충한 것이다. 「육팔보」의 주요내용은 민생과 국가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안을 기술한 것으로, 조선 當局자들이 주체를 확립하고 실행해야함을 주장하였다. 즉 조선 지식인으로서 그 당시 형성된 동아시아론에 대한 반응을 피력한 기술이자, 아울러 自强을 통해 서세동점의 조류에 맞서고자 했던 노력이라고 평가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discussion for resolving problems of East-Asia had faced, had started Around 1882. It was a trying as a resolve from the worry against the movement toward the East-Asia of the western countries by themselves. At that time, because of its geographical position and circumstances, the theme of the discussion was Chosun(朝鮮). In these progress, called as 'Suh Se Dong Jum(西勢東漸)', East-Asian countries submit some results that called "Chosun Chaek Ryak(『朝鮮策略』)" written by Hwang Jun Hun(黃遵憲). The contents of this document written by Hwang Jun Hun(黃遵憲) in 1880, can be sum up as 'Having friendly relations with China', 'Getting acquainted with Japan' and 'Making alliance with America'. From the time after the "Chosun Chaek Ryak(『朝鮮策略』)" had flowed in Chosun(朝鮮), discussion for resolving the problems of East-asia were started In earnest.
    Then after 'Im O Gun Ran(壬午軍亂)' occurred in 1882, Chosun(朝鮮) had led to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earnest, and this had become the factor of formation of modern East Asia. The discussion of East-Asia that had arised in the process of interference and mutual understanding and relationships between Ching(淸國) and Japan(日本), The purpose were different but contribute to an idea of making East-Asia initiative, and had been helped to form the modern idea of East Asia.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Chosun(朝鮮) clerisys who had experienced 'Im O Gun Ran(壬午軍亂)' continued to worry about its own survival in the situation of 'Suh Se Dong Jum(西勢東漸)', but they had been placed in the situation that are bound to encounter the Modern that had been interpreted by others because of the lack of information and the absence of external communication. So they had regarded as a perspective to prepare the modernization led by West, and a way to establish a corresponding way through Chinese personnel who visited in the period of 'Im O Gun Ran(壬午軍亂)'. In the process, Kim Chang Hee(金昌熙) who In charge of hosting for Chinese people who had come for quell the rebellion, had measured to save ChosunI(朝鮮) in transition period to modern, had been forming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m, and getting information about foreign,So That was 'Yupalbo(『六八補』)' that had been submitted as results. This document had been supplemented for Policy report on ChosunI(朝鮮) written by ChangGun(張謇) and Leeyunho(李延祜) that named Chosunsunhooryukchak(「朝鮮善後六策」) and Yungmaksipii(「戎幕十議」), in accordance with actual state of ChosunI(朝鮮). The main contents of 'Yupalbo(『六八補』)' is welfare and national development issues that might be helpful in, insists politicians of ChosunI(朝鮮) should must run this agenda in the situation that establish a main agents. In other words, 'Yupalbo(『六八補』)' can be estimated as the effort against the tide of 'SuhSeDongJum(西勢東漸)' by making themselves stongly, and this is the document what express response, as a clerisy of ChosunI(朝鮮), for the discussion about East-Asian problems formed at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