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성 도기동산성의 발굴성과와 성벽구조에 대한 소고 (A Contemplation on the Rampart Structure of the Dogidong Fortress in Anseong)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7.07
41P 미리보기
안성 도기동산성의 발굴성과와 성벽구조에 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구려발해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구려발해연구 / 58권 / 53 ~ 93페이지
    · 저자명 : 김진영

    초록

    도기동산성이 위치한 안성분지 일원은 고대로부터 해상과 육상교통로의 결절지로 삼국의 영역화 과정에서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하였는데 이러한 안성분지의 중심에 도기동산성이 위치한다.
    도기동산성은 주로 성벽부분을 중심으로 수차례의 발굴조사가 진행되었으며, 발굴조사 결과 토성에서 목책성으로 변모한 것으로 여겨진다. 초축 성벽은 구릉 경사면을 단이 지게 굴토한 후 성토하여 높은 토루를 조성하고 상부에 목책을 설치하였다. 주된 방어벽은 토루로 목책은 여담과 같은 역할을 한 토성으로 판단된다.
    축조시기는 후대 성벽 구조물과 내부공간의 주거지 및 저장구덩에서 출토되는 백제토기와 성벽의 AMS 연대측정 결과 등을 고려할 때 한성 백제기인 4세기 중·후반 무렵을 전후한 시기에 축성되어 5세기 대 까지 운용된것으로 판단된다.
    초축 성벽의 상부를 정지한 후 축조한 목책은 서로 연결된 내·외 이중목책 구조로 바깥 목책에 점토를 두텁게 바른 석축시설을 덧대고 외부에 성토하여 목책을 보강한 구조적 특징을 나타낸다. 이러한 목책구조는 세종 남성골산성과 연천 무등리2보루 등의 성벽구조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고구려 목책성의 구조적 특징을 잘보여준다. 성벽 구조물에서 출토되는 고구려 토기의 특징 상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중반 대에 해당하여 475년고구려의 한성 공함 동시에 곧바로 안성지역까지 진출하여 축조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산성의 평면구조는 발굴된 성벽의 위치와 진행방향으로 볼 때 내·외성으로 구성된 중성구조이며, 북문과 남문의 문지 두 곳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규모는 내성의 둘레가 약 1.4km 정도이며, 외성을 포함한 전체 둘레는 2km는 족히 되는 거성으로 남한 내 고구려 성곽에서 가장 크며, 백제토성 중에서도 중앙의 몽촌토성과 지방국읍체의 중심으로 비정되는 화성 길성리토성에 버금가는 것으로 산성의 규모와 지정학적 위치상 백제와 고구려의 남방경략과정에서 거점성 기능을 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영어초록

    The Anseong Basin area where Dogidong Fortress is located is the node of maritime and inland transportation passages from the ancient times with the role of strategically critical location in the territory process of the three kingdoms and Dogidong Fortress is situ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Anseong Basin.
    There have been a few excavation survey mainly around the rampart part of Dogidong Fortress, and as a result of the excavation survey, it seems to have a repairing and alteration process to turn it from the earthen fortress to the wooden fence fortress. The first rampart excavated the sloped area of the ridge to have steps and then it builds the high earthen tower to install the wooden fence on the upper part. The main defense wall is the earthwork that the wooden fence seems to be the earthen fortress with the role that is similar to battlement. The construction period has weak direct base data, but when considering the AMS chronological measurement result and others for the Baekje earthenware and rampart excavated in the post rampart structure, residence of internal space and storage pits, it is considered as constructed in the reign of King Geunchogo around middle and later part of the 4th century, the Hanseong Baekje Era and operated it up to the 5th century era. After leveling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ampart, the constructed wooden fence has the connected internal and external dual wooden fence structure. It ha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reinforced wooden fence by building up the exterior after applying the stone structure facility that is thickly coated on the external wooden fence. Such a wooden fence structure is very similar to the rampart structure of Sejong Namseonggol Fortress and Yeoncheon Mudeungri2 fort that it displays well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Goguryeo wooden fence fortresse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mpart found in the rampart structures, it would be applicable at the time between the later 5th century to the mid-6th century and it is shown to be constructed by advancing up to the Anseong area simultaneously with the Hanseong fall of Goguryeo in 475.
    Furthermore, when looking at the location of the excavated rampart and its direction for the plane structure of the fortress, it is in the dual fortress as it is structured with inner and external fortresses and it is assumed to have two gate the North Gate and South Gate. For its scale,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fortress is approximately 1.4km and the overall circumference including the external fortress is at least 2km that this is the largest Goguryeo fortress in South Korea. It is comparable to the Mongchon earthen fortress that is in the middle of the Baekje earthen fortresss and the Hwaseong Gilseong-ri earthen fortress as the central part of local town system, and it seems to take on the role of the hub fortress in the process of advancement toward the southern regions for Baekje and Goguryeo considering the scale of the fortress and its geopolitical lo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구려발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