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대가야금보(東大伽倻琴譜) 소재 민요 <흥타령(興打鈴)> 연구 (An Analytical Study of a Folk Song, “Heungtaryeong” in Dongdae Gayageumbo)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7.04
22P 미리보기
동대가야금보(東大伽倻琴譜) 소재 민요 &lt;흥타령(興打鈴)&gt;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49권 / 1호 / 227 ~ 248페이지
    · 저자명 : 주재근

    초록

    민요 가운데 오늘날 성악악보와 같이 가사와 선율이 함께 존재하고 있는 『동대가야금보』의 <흥타령>은 19세기말 민요 반주선율 등을 볼 수 있게 해 주는데 의의가 있다.
    『동대가야금보』가 『동대금보』(1813년)와 비슷한 시기, 동일 인물이 편찬하였는가에 대한 검토 결과 『동대가야금보』의 편찬자는 『동대금보』를 참고하였을 가능성은 높지만 동일시기라 할 수 없고 후대에 저본으로 참고하였을 가능성은 있다. 『동대가야금보』의 편찬년대는 1813년 무렵이 아닌 19세기 후반으로 추정된다.
    『동대가야금보』의 ‘조현법’을 통해 19세기 후반 가야금 조율법이 오늘날 가야금 조율법과 완전히 같음을 알 수 있다. 『동대가야금보』 <흥타령>의 형식은 보허자의 환두 환입과 같은 형식으로 AB/C(환두)B(환입)과 같은 음악적 형식을 갖고 있다고 하겠다.
    <흥타령> 문장과 답장은 각장이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연속적 음악 흐름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흥타령>은 문장에서 노래를 부르고 나면 답장에서 기악 반주를 하고, 다시 문장의 선율을 노래 부르는 연행방식이다.
    『동대가야금보』 <흥타령>의 출현음에서 주목되는 음은 음과 , , 과 같이 본음을 내기전 전타음들이 많이 있다는 것이다. 이와같은 전타음들은 <영산회상>곡들에서는 보이지 않고 <국거리>, <풍류치음><흥타령> 등에서 공통적으로 보인다.
    <흥타령>은 정악가야금보다는 산조가야금에 어울리는 민속풍류음악이며 구음에 있어서도 표현을 극대화로 인한 구음의 확장(→), 전성, 퇴성 등 주법의 확장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It is meaningful that "Heungtaryeong" in Dongdae gayageumbo is a folk song that has both the lyrics and melodies as in today's vocal music scores, and that it reveals the aspects of the folk songs and their accompaniment melodies of the late 19C by being included in the Yeongsanhoisang type of music, which belongs to the court music genre.




    This paper compares Dongdae gayageumbo to Dongdae geumbo to figure out whether they share the compiler as well as they were compiled around the same time. As a resul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compiler of Dongdae gayageumbo referred to Dongdae geumbo but it can not be considered to be of the same period of compilation. It is rather considered that Dongdae geumbo was referred to as the original script in a later period. Dongdae gayageumbo should be estimated at the late 19C, not around 1813.




    Examining the tuning system included in Dongdae gayageumbo, it is found that the tuning system of gayageum of the late 19C is completely identical with today's system. In terms of musical form, "Heungtaryeong" in Dongdae gayageumbo has the same form as "Boheoja":AB/C (episode; hwandu) B (refrain; hwanip). That is, each paragraph in "Heungtaryeong" is not discrete but in consecution. When translated, "Heungtaryeong" progresses in the order of singing, instrumental accompaniment, and singing. This piece is not clearly interpreted by its tones and melody progress.
    What is noticeable among the tones in "Heungtaryeong" in Dongdae gayageumbo is the ddang () tone. This tone never appears in the Yeongsanhoisang type of pieces but in "Gukgeori" and "Pungnyu chieum". Being the same pitch as the ddang () tone, the ddang () tone is made by pressing the left hand finger harder than when making the other, which seems to be the reason why it was notated as its fortis. What is also notable in "Heungtaryeong" is that it has many appoggiaturas. These are also found in "Gukgeori" and "Pungnyu chieum". Considering "Yeongsanhoisang", the main piece of Dongdae gayageumbo displays distinction in space between notes and lines as well as the thickness of the letters from its following pieces, "Gukgeori", "Pungnyu chieum", "Heungtaryeong", it is presumed that they were added by the same author at a later time. Those added pieces are more of folk pungnyu music which are more suitable for sanjo gayageum rather than jeonggak gayageum, and their oral sound with the playing style were expanded for maximized expre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