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불교의 음식 특징 비교 - 한국ㆍ중국ㆍ일본, 3국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Buddhist Cuisine in East Asia:Korea, China and Japa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6.12
26P 미리보기
동아시아 불교의 음식 특징 비교 - 한국ㆍ중국ㆍ일본, 3국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28호 / 415 ~ 440페이지
    · 저자명 : 김미숙

    초록

    평범한 생활인의 일상을 떠나 수행자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 모여 사는 공간이 사찰이다. 그 특별한 공간에 담겨 있는 음식이 평범한 삶을 살아가는 재가 생활인들의 음식과 동일하지 않다는 것은 상식적일 것이다. 그러나 그 특별한 공간의 음식들은 특별한 만큼 일반인들, 소위 속인들의 이목을 끌고 일종의 선망(羨望)을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최근에는 그러한 사찰 음식이 현시대가 원하는 이상적인 식단이라고 각계의 찬사를 받으면서 세계적인 주목과 호평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삼국, 즉 한국, 중국, 일본의 불교 음식을 자료로 삼아 비교하되, 특히 한국 사찰의 식단적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문헌적 배경을 추적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불교 음식의 첫째가는 특징으로 꼽히는 오신채 금지에 대해서, 불교 음식의 기원이라 할 인도 불교 전통으로 소급하여 고찰하였다. 율장을 비롯한 불전(佛典)에서 금지하고 있는 음식의 종류는 낮은 위도의 아열대 몬순 기후에서 생활했던 붓다 시대의 승가 구성원에 적용되었던 사안들이다. 따라서 시대적으로 보자면 무려 2,500여 년을 거슬러 올라간다. 모든 것이 급속히 변모하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로서는, 불교가 인도에서 발흥하여, 중국, 한국, 일본으로 전전(轉傳)되는 과정에서 불교의 교리는 일부 강화되기도 하고, 폐기되기도 하였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필자는 그와 동일한 맥락에서, 이 땅에 자생하지도 않고 재배하지도 않는 식물에서 추출, 가공하여 조미료로 사용하는 힝구(hiṅgu, Asafoetida)를, 오신채의 하나로서 금지한다는 설명은 이제 더 이상 의미가 없다고 주장한다. 달리 말하면, 한국 사찰 음식의 특징으로서, ‘힝구를 넣지 않는다’는 조목은 폐기해야 한다.
    인간의 식이(食餌) 관습은 변한다. 시간과 장소에 따라, 그리고 특별한 목적에 따라 원칙과 예외가 생겨나고, 허용되거나 금기시되기도 한다. 최근 한국의 사찰 음식을 소개하는 책 이름에 ‘레시피’(recipe)라는 단어가 등장하고 음식 종류에도 ‘김치밥 피자, 야채 짜장, 레몬 소스와 오이 샐러드, 느타리 깐풍기’가 열거되고 있다. 이것이 우리 사찰 음식의 현주소이다.
    또한 일본 음식의 영향이 분명한 채수(菜水)를 기본 양념의 하나로 삼고 있으며, 중국 음식, 서양 음식 가리지 않고 한국의 사찰 음식 목록에 포함시키고 있다.
    그리고 한국 조계종의 기본 율장으로 삼고 있는 『사분율』에서 금지하고 있는 미식(美食)의 종류들은 현재 한국 사찰 음식에서는 현실적으로 상용하는 기본 양념이자 허용된 음식으로 자리 잡은 지 이미 오래되었다. 이와 같은 시대적 변화에 착안한다면, 사찰 음식이라는 이름으로 풍미하고 있는 세간의 불교 음식류 또한 원형이라고 볼 만한 것이 무엇인지, 사찰 음식이라는 이름이 과연 합당한지도 재고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고 본다.

    영어초록

    Generally, the Buddhist temple is reserved for monks and nuns. The traditional Buddhist way of life, therefore has been well preserved, separated from secular affairs. Culinary culture is not exceptional and temple’s diet is different from that of ordinary people.
    Growing interest in health life advocates a vegetarian diet for its benefits, and Buddhist diet gains more and more popularity around the world. Especially, many experts look to Korean Buddhist food for their answer to fighting against obesity and adult disease.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cuisine in China, Korea and Japan in the context of Buddhist script.
    Most of Mahāyāna Buddhists strongly oppose to eat meat and certain type of foods on scriptural grounds. However, it is worth to address that such rule is the product of geographical characteristic (humid and sub-trophic weather where foods can be easily spoiled) and other circumstances in ancient India.
    As Buddhism gradually spread from India to China, Korea and Japan, certain provision of script was added or omitted for a variety of reasons.
    Hiṅgu (asafoetida) provides a good example; Korean monks and nuns are not allowed to eat this vegetable only because it is classified as one of the Pañca-Parivyaya (five forbidden vegetables ; five spices) although it is neither native nor cultivated ever in Korea. Surely, the time has come to review this kind of rules and regulations.
    As history tells us, the culinary culture is not unchangeable. There must be an exception to the rule and the taboo and stigma is neither universal nor permanent.
    Today, the term ‘recipe’ is popular as a tile of Buddhist books in Korea. Also, the un-heard cuisines are being introduced - namely, Kimchi-rice pizza, meat-free Jajang-myeon (noodle with black soybean sauce), lemon-dressed cucumber salad and fried oyster-mushroom. Unfortunately, this is the situation we face. Moreover, these cuisines are influenced by Japanese (vegetable broth is not Korean tradition), Chinese or Western recipe.
    This trend is not comply with the provisions of the Four-fold Rules of Discipline (the foundation of the Vinaya Piṭaka of the Jogye Order of Korea), and some of basic condiments and food items are unavoidable since they are commonly and widely used in the kitchen of temple.
    Under this circumstance, it is necessary to rethink “what is very Korean Buddhist cuisine” and “what defines the Buddhist cuisine”. In addition, the inappropriately named foods shall be removed from the l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