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서양 그래피티 예술의 사회 문화적 가치 특성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o-Cultural Values of East and West Graffiti Art)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8.12
12P 미리보기
동·서양 그래피티 예술의 사회 문화적 가치 특성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3권 / 6호 / 303 ~ 314페이지
    · 저자명 : 양재희, 홍지나, 윤재은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다양한 문화적 매체가 공존하며 소통하고 있는 현대사회에는 하나의 문화적 매체로 그래피티(Graffiti) 예술이 있다. 하위문화로 인식 되었던 그래피티 예술이 대중과 소통하면서 기존 인식과 예술적 평가가 달라지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흐름을 타고 동·서양에 나타난 그래피티 예술의 사회 문화적 가치 특성을 도출하여 예술적 기반으로 한 단계 성장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범위는 그래피티 예술이 발생한 미국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독일, 영국과 아시아의 한국, 중국, 일본으로 한정한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그래피티 예술의 개념과 특성을 파악하고, 발생 배경을 정리하여 예술적 특성을 도출한다. 둘째, 정리된 이론을 바탕으로 그래피티 예술을 사회 문화적 성격으로 분류한다. 셋째, 분류된 사회 문화적 성격을 토대로 그래피티 예술의 사회문화적 가치 특성에 대한 분석의 틀을 만들고, 예술적 특성과 문화적 특성, 가치적 특성을 통해 분석의 요소를 설정한다. 넷째, 선정된 동·서양의 국가들의 그래피티를 분석의 틀로 분석하고 그래피티 예술의 사회 문화적 가치를 결과로 도출한다. (연구결과) 그래피티 예술에서 미국은 힙합 문화와 대중과 결합된 문화적 특성을 보이며 자유로운 미국의 혼성 문화를 소통적 가치 특성으로 공공성을 획득한다. 독일은 전쟁과 분단의 역사가 깃든 증오와 분노를 자유와 평화로 승화시킨 그래피티 예술로 기존의 틀을 깨고 상징화 한다. 영국은 사회에 대한 저항을 풍자한 기호를 사용한다. 한국은 낙서처럼 보이고 난해한 느낌을 준다는 선입견이 있었으나 도시의 특색과 테마가 있는 구성으로 문화예술 공간을 제공한다. 중국은 유럽의 문화를 중심으로 예술의 공간화를 추구하며 중국 국민성이 담긴 상징화로 의도된 기호적 예술적 특징으로 나타난다. 일본은 간결하고 단순하며 전통적인 색감이 주는 기호성 표현이 나타난다. (결론) 본 연구를 결과를 종합하면 서양의 그래피티 예술의 사회 문화적 가치 특성으로는 공공성이 높게 도출 되었다. 동양은 상징화가 가장 높은 예술 표현 특성 결과로 도출 되었다. 그래피티 예술은 대중과 소통하는 사회적 정서와 메시지를 시각화하고 대중과 소통하며 도시환경에 미학적으로 영향을 주는 예술로 인간이 가지는 내면의 욕구를 자유로운 표현을 예술로써 승화시켜 대중과 공감대를 만들어 낸다. 이상과 같이 동·서양 그래피티 예술의 사회 문화적 가치 특성에 관한 연구의 도출된 결과를 통해 그래피티 예술의 또 다른 분야의 연구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n a modern society wherein various cultural media coexist and communicate, graffiti art is a cultural medium. As graffiti art, which was recognized as a subculture, interacted with the public, the existing perception and artistic evaluation of the medium began to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 of graffiti art in the East and the West in order to provide artistic-based growing data. (Method)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limited to the United States where graffiti art has occurred and to Germany, Britain, Korea, China, and Japan, where it has been actively conducted. First, this study identifi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graffiti art and organizes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to derive artistic characteristics. Second, graffiti art is categorized as social and cultural based on organized theory. Third, the framework for analysis of social and cultural value characteristics of graffiti art based on classified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analysis are established through art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value characteristics. Fourth, graffiti from selected Eastern and Western countries is analyzed in a framework of analysis and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 of graffiti art is derived as a result. (Results) In graffiti art, the U.S. displays hip-hop cultur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combined with the public and gains public recognition through its free-mixed culture. Germany has graffiti art that sublimates hatred and anger in the history of war and division into freedom and peace, thus breaking the existing framework and symbolizing it. Britain uses symbols that satirize resistance to society. There were preconceived notions that Korea would have difficulty with graffiti, but it provides a cultural and artistic space with the features and themes of its cities. China pursues the spatialization of art with the center of European culture and is represented by symbolic artistic features intended as a symbol of the Chinese national character. Japanese graffiti art has a simple and traditional taste. (Conclusions) Comb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 characteristics of Western graffiti art were derived. Eastern graffiti art was perceived with high symbolic artistic characteristics. Graffiti art visualizes social emotions and messages that communicate with the public and aesthetically influences the urban environment. It sublimates the inner needs of human beings into art and creates a consensus with the public. As above, we will present the results of our study on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 Eastern and Western graffiti art as research material in another field of graffiti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