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愼齋 周世鵬의 白雲洞書院 관련 詩 연구 (A Study on the Poetry of Sinje Ju Sebung on related Baekundong Soew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2.05
32P 미리보기
愼齋 周世鵬의 白雲洞書院 관련 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자학회
    · 수록지 정보 : 孔子學 / 22호 / 203 ~ 234페이지
    · 저자명 : 이정화

    초록

    신재는 배움에 뜻을 둔 사람들에게 성현의 도를 실현할 수 있는 공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신재는 주자를 스승으로 삼아 학문에 정진한 안향의 위기지학(爲己之學)을 언급하고 있다. 위기지학이란 부귀영화를 얻기 위해 하는 공부가 아니라 자기 자신의 수양을 쌓기 위해 하는 공부를 총칭하는 말이다. 신재는 스승의 학문을 계승하려면 무엇보다도 잡념을 씻어내어 맑고 순수한 마음을 지닐 것을 당부하고 있다. 그는 백운동서원에서 공부하는 사람들이 안회, 중궁, 주자, 안향과 같이 하늘이 자신에게 내린 사명이 무엇인지를 배움을 통해 깨닫고 이를 실천하는 인물로 성장하여 나라의 인재가 되기를 간절히 바랐을 것이다.
    신재는 산수자연을 관조하면서 우러난 흥감을 표출한 바 있다. 특히 경렴정을 시제로 하여 산수자연과 합일된 마음을 형상화한 것이 특징적이다. 서원 경내 죽계의 바위에는 백운동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다. 이 바위와 죽계의 냇물이 서원 및 인근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일찍이 시인묵객들은 이곳을 천혜(天惠)의 명소(名所)로 애호하여 왔다. 신재는 “흰 구름을 좋아하여 이곳을 자주 찾는다.”고 고백한 바 있는데, 명리(名利)에 연연하지 않으며 고결한 선비로 살아가는 그의 인생철학을 시의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백운동서원에서 정자 박승임에게 보낸(白雲洞 贈朴正字承任)> 시를 보면, 청백리로 살아간 소고 박승임의 마음을 익히 알았던 신재는 탈속(脫俗)한 유자(儒者)의 마음을 선사하고 있다. 풍기군수로서의 득의(得意)한 태도는 보이지 않고, 시를 지으며 속세의 때를 묻히지 않고 살아가는 신선의 모습으로 스스로를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이 그러하다.
    신재의 시에는 서원의 유생들이 배움을 통해 인격을 수양하고 인재로 성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성현(聖賢)의 경지까지 나아가기를 염원하는 스승의 참마음이 나타나 있다. <백운동서원 김중문 원장에게 증정한(贈白雲洞院長金仲文)> 시에서는 학문의 목적은 벼슬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덕을 닦기 위한 것이어야 함을 일깨우고 있다. 위의 시에서 세상 사람들은 인작(군주가 하사한 벼슬)을 매우 존귀하다고 여기는데, 이보다는 천작이 더 존귀한 것임을 보여주었다. 그 이유는 하늘이 내린 인의(仁義) 충신(忠信)과 같은 덕을 갈고 닦는 삶이 곧 인간이라는 유한한 개체를 영원히 가치 있는 존재로 완성해주기 때문이다.
    <새 달력에 써서 백운동서원의 여러 선비들에게 보낸(題新曆寄白雲洞諸彦)> 시에는 유자의 공부법이 마음의 수양과 직결됨을 보이고 있다. 하늘이 내린 본성을 잘 기르며 마음을 닦는 것은 위기지학(爲己之學)의 공부법과도 상통한다. 위의 시에서는 백운동서원에서 공부하는 사람들이 새해를 맞이하여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학문에 전심하기를 바라는 신재의 간절한 마음이 담겨 있다. <백운동서원에서 우연히 읊은(白雲洞偶吟)> 시에는 학문과 덕행을 두루 갖춘 한퇴지의 풍모를 되새기며 시상이 전개된다. 이는 서원의 유생들 또한 한퇴지와 같은 풍모를 갖추기를 염원하는 마음을 표출한 것이다. 형제애가 담긴 사령운의 <등지상루(登池上樓)>시를 떠올리는 신재의 모습을 통해 백운동서원에서 공부하는 선비들을 형제처럼 진심으로 아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논의한 바에 의하면, 신재의 시와 사상에는 자연의 이치 및 학문의 본질, 그리고 인간존중의 의미가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to based upon research about his poetry in a way to study of Sinje Ju Sebung(愼齋 周世鵬). He was a great mentor to give way to their study. He is An Hwang(安珦) of the study methods, pay attention to 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he right Bakundong Soewon(白雲洞書院) in Sunheng(順興). As we already know, An Hwang is the country’s first Neo-Confucianism. Sinje Ju Sebung’s talent training was emphasized. Sinje Ju Sebung is the mentor’s heart Bakundong Soewon, like the cloud to study here.
    He was a poem to the teaching awoke. Sinje Ju Sebung’s scenery poems that glorify awoke the teaching building project. He is also in the midst of beautiful nature of the works, was aware of that. He is to study hard and realized that these natural reas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also Sinje Ju Sebung will foster self. Also, it could be a great person to Sinje Ju Sebung must learn. You can also Sinje Ju Sebung students as much as it could be a great person. He is to study hard loved brother who. Therefore He is in the midst of his poetry and the laws of nature and human values, the meaning of humanity, human beings worthy of resp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孔子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