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대 영주지역의 불교와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Buddhism in Ancient Yeongju and the Rock-carved Buddha Triad in Gaheung-dong)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3.06
36P 미리보기
고대 영주지역의 불교와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밀교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밀교학연구 / 3권 / 395 ~ 430페이지
    · 저자명 : 정동락

    초록

    이 글에서는 고대 영주지역의 불교문화를 토대로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의 조성배경과 불교문화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먼저, 신라불교의 전래와 확산과정에서 영주지역의 상황과 역할을 주목했다. 영주는 고구려에서 신라로 불교가 전래되는 통로이자, 왕경에서 숙성된 후 중・북부지역으로 확산되는 경로에 자리했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이가흥동 마애불 조성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의 불교문화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1) 한국 사상사에서 전통신앙에서 불교사상으로 전환하는 시기, ‘무불교체(습합)를 증언하는 거의 유일한 사례로 특별한 현장성과 장소성’ 을 지닌다. (2) 의상계 화엄종 승려들이 발원하고 국가적 사업으로 조성한, ‘통일신라의 출발을 알리는 상징적 불교조영물’이다. (3) 한반도를 남북으로 연결하는 죽령의 교통요충지에 위치하면서, ‘국가 기간교통망의 안정적인 보호, 사람의 이동과 물자 수송의 안전을 염원했던 불교신앙의 기원처’였다. (4) 신라불교의 전래와 확산이 교차하고 고식과 새로운 양식이 융합된, ‘경북 북부와 영주지역의 지역성과 독창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마애불 - 불교조각품’이었다. 이런 점에서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construction background and value of ‘the Rockcarved Buddha Triad and Seated Buddha in Gaheung-dong, Yeongju’ based on the Buddhist culture of ancient Yeongju. First of all, this researcher noticed the situation and roles of Yeongju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d spreading Silla Buddhism. Yeongju was a passageway through which Buddhism was transmitted from Goguryeo to Silla and was located in the route of spreading Buddhism matured in Capital to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These regional characteristics have been also found to have great influence on the creation of the Rock-carved Buddha Triad in Gaheung-dong.
    This study presents the Buddhist cultural value of ‘the Rock-carved Buddha Triad and Seated Buddha in Gaheung-dong, Yeongju’ as follows. (1)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it is equipped with special presentness and placeness as almost the only case of testifying the replacement from Taoism to Buddhism’ in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traditional belief to Buddhist thought. (2) It is ‘symbolic Buddhist sculpture announcing the start of the Unified Silla’ originated by the monks of Uisang-line Huayanschool and created as a national project. (3) Located in the transportation hub of Jukryeong linking the southern and northern Korean Peninsulas, it formed ‘the praying spot of Buddhist faith where they wished for the stable protection of the national traffic networks and safety in human movement and goods transportation. (4) It was ‘representative Buddhist sculpture of the Rock-carved Buddha Triad representing the locality and originality of northern Gyeongsangbuk-do and Yeongju, which shows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Silla Buddhism both and convergence between old and new styles. In this respect, it has crucial value from historical, academic, and artistic perspect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밀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