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해: 생의 갈망과 죽음에의 저항 (Dong-Hae: Life's Eagerness and Resistance Forms of Death)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5.11
26P 미리보기
동-해: 생의 갈망과 죽음에의 저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57호 / 67 ~ 92페이지
    · 저자명 : 황지선

    초록

    이 글은 이상의 단편소설 「동해(童骸)」와 다른 몇몇 작품들에 드러난 감각인식과 시간의식을 분석하여 나아가 이상이 어떤 방식으로 생과 죽음을 다루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했다. 소설의 제목인 「동해(童骸)」가 상반된 이미지를 함께 지니고 있듯이, 이 소설은 여성에 대한 동경과 멸시, 생과 죽음 사이를 끊임없이 진동하는 양상을 보인다. 대립하는 개념을 두고 고민하는 행위를 반복하는 이중구조는 현실의 양면성을 은유한다. 중요한 것은 이 분열과 반복이 끝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동해」에서 다중감각은 세계를 인식하는 방법이다. ‘나’는 임이를 인식하기 위해 시각보다는 다른 감각들을 이용한다. 이 때 소설에 수미상관으로 배치된 나쓰미깡은 이 감각들을 구체화하며 임이와의 사랑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로 작동한다. 임이와의 사랑은 ‘나’의 시간 인식에 따라 반복하고 회귀한다. 곧 일어날 것과 방금 일어난 것을 공존하고 다시 겹치며 혹은 그 이전의 시간이었던 것처럼 서술하는 나에게 생과 죽음은 잠재된 시간이며 끊임없이 변하는 시간이다.
    이는 모든 것이 죽음을 향해 가는 직선적 시간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죽어가는 이상이 죽음에서 벗어나는 방법이란 생과 죽음 사이를 끊임없이 배회하는 것이었다. 「봉별기」에서 ‘금홍’과의 사랑이 그의 각혈을 멈추게 했던 것처럼 이상은 ‘임이’를 통해 죽음에서 도망치려 했다. 그리고 세계가 요구하는 방식이 아닌 다른 감각기관과 시간논리에 따라 임이와 관계 맺는 양상은 이를 단순한 연애가 아닌 삶을 지속하는 놀이로 탈바꿈한다. 잠재성이 가득한 시간 속에서 모든 것은 놀이처럼 매번 새로워질 수 있다. 놀이가 된 사랑은, 임이를 이해하지 못한 것을 실패(죽음)로 규정하지 않는다. 사랑은 끝난 것이 아니라 놀이처럼 매번 다시 시도할 수 있는 것이다. ‘나’는 넘어진 곳에서 다시금 일어날 수 있게 되며 실패를 가능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sensory and temporal perceptions in 「Donghae」, a short story by Lee Sang including his several other works and further examining how he deals with life and death. As shown from the title of the novel 「Donghae」 having the conflicting images together, this novel shows an aspect to vibrate continually between yearning and disregard for a woman also between life and death. A dual structure repeating a disturbing action in front of conflicting concepts represents a metaphor on ambivalence of the reality. The important thing is that such splitting and repetition never come to an end.
    In 「Donghae」, multiple sensations refer to a way recognizing the world. 'I' use other senses other than the visual in order to recognize Imi. At this moment, Nasseumikkang positioned in the novel under correlation of the beginning and the end embodies such sensations and functions as a medium for achieving a love affair with Imi. Affection for Imi repeats and returns according to the temporal recognition of 'I'. Coexisting and overlapping things to happen immediately soon and things happened just now, for 'I' who describes them like the time before, life and death are the time latent and changing constantly.
    It means escaping from the linear time everything heads for death. A way for dying Lee Sang to escape from the death was wandering between life and death endlessly. As falling in love with 'Keumhong' in 「Bongbyeolgi」 made his hemoptysis stopped, Lee Sang tried to escape from death through 'Imi'. Besides, a relation with 'Imi'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time logic rather than a method required by the world transforms it into the play to continue the life instead of a simple love affair. In the time filled with the potential, everything may be renewed like the play. Love transformed into the play does not define misunderstanding on 'Imi' as a failure(death). Love, never ending, may be attempted again everytime like the play. 'I' can stand up from the place where 'I' tumbled down and failure comes to be the potent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