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석촌동 고분군의 축조 양상 검토 – 고분 분포를 중심으로- (A Study of Formation of the Seokchon-dong Burial Sit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2.02
24P 미리보기
석촌동 고분군의 축조 양상 검토 – 고분 분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75권 / 75호 / 252 ~ 275페이지
    · 저자명 : 조가영

    초록

    석촌동 고분군은 백제 한성 도읍기 도성을 구성하는 주요한 시설이며, 동시에 도성의 매장 문화를 보여주는 유일한 자료라는 학술적 가치를 가진다. 이 고분군은 일제 강점기에 유적의 존재와 보존 가치가 확인되었지만, 1970년대 급격한 도시 개발로 현재는 일부 고분에 대한 조사만이 이루어진 채 대부분이 멸실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작성된 고분분포도는 이 일대의 고분 분포 상황과 성격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나, 발굴 조사된 고분과의 관계 규명에 대한 시도는 이루어진 바 없다. 이는 기발간된 보고서에서 유구 배치를 명확하게 전달하지 못하였다는 이유 이외에도, 일대의 유적 분포현황을 보여주는 유일한 자료로 인식되었던 1916년 간행된 고적조사도보의 고분분포도가 정확한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음에 기인한다.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석촌동 고분분포도의 공개로 이 일대에 알려진 것 이상의 고분이 밀집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분포도는 지적도를 바탕으로 작성되어 발굴 조사된 고분과의 관계 파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글은 백제 한성기 도성 지역의 고분에 대한 이해를 위해 석촌동 고분군 내 고분의 공간 분포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그간의 조사 연혁을 해방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살펴보고, 조사의 배경과 성과를 파악해보았다. 또한 일제 강점기에 작성된 고분분포도 및 조사 내용과 해방 이후의 항공사진, 지형, 지적도, 수치지형도, 행정문서, 발굴기록 등을 검토하여 석촌동 고분군의 축조 양상의 일면을 복원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일제시대 고분분포도와 발굴조사된 석촌동 고분군과의 위치 관계를 파악하고, 가락동 1, 2호분, 석촌리 6∙7호분 등의 위치를 추정하였다. 나아가 대다수의 고분이 멸실된 석촌동 고분군의 공간 분포를 현재의 수치지형도와 연결시키고, 가락동 및 방이동 고분군과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도 고찰해 봄으로써 백제 한성기 도성의 매장 영역의 범위를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e Seokchon-dong burial site is one of major facilities which constitute the castle town during the Hanseong Baekje period, showing the burial culture in the capital. Although the existence and archaeological value had been recognize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most of the tombs were unfortunately ruined by the urban development in the 1970’s except only a small quantity of tombs excavated.
    Although some temporal and spatial tips of the tombs are contained in the map produced in 1916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y could not been compared to those of the remaining tombs. It was partially because the arrangement of tombs was not illustrated enough on the excavation report, and also because the map of Gojeokjosadobo(An Investigation Report of Ancient Remains), known as the only existing one, shows ambiguous spatial information. Recently, however, another map was opened to the public by National Museum of Korea, which revealed denser distribution of the tombs than previously known. This map based on the cadaster map came to make close comparison with the remaining tombs possible.
    Accordingly this thesis aimed to investig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ombs at the Seokchon-dong burial site an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tombs in the castle town during Hanseong Baekje period. Existing results and their backgrounds of the investigations executed both before and after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were searched to review: different kinds of maps including aerial photo, topographic map, cadastral map, digital topographic map and administrative documents were scanned thoroughly to compare with each other for the apprehension of spatial relations of the tombs at the Seokchon-dong burial site.
    As a result, the locations of the excavated tombs of the Seokchon-dong site were identified on the maps mad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Locations of tombs no. 1 and 2 of the Garak-dong site and tombs no. 6 and 7 of the Seokchon-ri were also able to be closely estimated, which enabled a critical review of the present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m. In addition, the burial range in the capital during the Hanseong Baekje period was estimated by tracing the locus of the Garak-dong and Banggi-dong burial sites. By overlaying all the spatial information on a modern digital topographic map,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tombs in this area were verif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상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