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서동 유적으로 본 조선시대 사찰의 성격 변화 연구 (Study on the Evolu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Dynasty Temples as Seen through the Suseo-dong Ruin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4.04
29P 미리보기
수서동 유적으로 본 조선시대 사찰의 성격 변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산학보 / 128호 / 267 ~ 295페이지
    · 저자명 : 박경우

    초록

    불교는 기원전 5세기 인도에서 발생하여 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A.D 372년 한반도로 전래된 이래로 왕실 등 지배층들의 후원을 받아 널리 퍼져나갔다. 이러한 불교가쇠퇴하기 시작한 것은 조선시대부터이다. 유교를 숭상하는 신진사대부에 의해 조선이 건국되면서불교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경제적 후원이 차츰 줄어들게 되고, 경제적 기반을 잃은 사찰들은 점점그 사세가 줄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국가정책과는 반대로 조선 초기 왕실과 사대부 가문의 불교후원은 계속되었다. 왕실은 기존의 사찰을 능침사 또는 내원당 등으로 지정하여 후원하였고, 사대부들은 가문의 개인 사찰인 분암 등을 지어 불사를 이어나갔다. 하지만 유교적 사회 분위기가 강화되고사대부들이 더는 불교식 상장례를 치르지 않게 되면서 무덤을 수호하고 제사의 역할을 하던 사찰들의 역할이 흔들리게 된다. 특히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은 폐사를 가속화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왕릉을 관리하는 능침사 또한 폐사되는 사례들이 발생한다. 17세기에 이르러 지속적인 능 관리를 위해 능인근의 사찰을 조포사로 지정하였으나, 경제적 후원이 없었던 사찰들은 지속적으로 폐사되어 갔다.
    수서동 유적은 15세기 말 건립되어 19세기까지 존속했던 사찰이다. 총 12동의 건물지와 4기의기와가마가 확인되었다. 유적은 15세기 후반 중정을 중심으로 조성된 9동의 건물지와 기와가마가조성된 후, 17~18세기 기와가마를 파괴하고 3동의 중복된 건물지가 배치된 형태이다. 왕실 또는왕실 관련 시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급자기, 마연기와, 용문막새 등과 사찰에서 사용되는 연화문+ 범자 막새 등이 함께 출토되었다. 1495년 광평대군(廣平大君, 1425~1444)의 묫자리를 선릉 자리로 내어주게 되면서 묘역을 이장할 때 건립된 광평대군 가문의 분암으로, 최소 100여 년간 그 역할을하였다. 17세기 초~1728년 사이 헌릉 관리를 위한 사찰인 조포사로 헌납되면서 봉헌사라 명명되고, 사찰의 성격은 분암에서 조포사로 변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경제적 기반이 없던 봉헌사는 차츰쇠락하여 조포사의 역을 수행하지 못할 정도에 이르고, 최소 1872년까지는 사찰의 명맥은 유지했으나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Since its arrival in Korea in A.D. 372, Buddhism gained widespread acceptance with support from the royal family and ruling classes. However, during the Joseon Dynasty, Buddhism declined as Confucian scholars came to power, leading to a reduction in national economic backing for temples.
    Despite this, the royal family and prominent families continued to support Buddhism initially.
    Nevertheless, the role of temples in rituals and tomb protection diminished as Confucianism gained prominence. The Imjin War expedited the decline of royal tombs, with even Neungchimsa Temple, responsible for their management, ceasing to exist in some cases. Some temples near Neung were designated for tomb management but without financial support, they too declined.
    The Suseo-dong ruins, constructed in the late 15th century and active until the 19th century, consisted of 12 buildings and four tile kilns. Initially, nine buildings and kilns were built around a central yard in the late 15th century. Later,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kilns were destroyed, and three overlapping buildings were arranged. Excavations revealed high-quality porcelain, sharpen tiles, and dragon-patterned tiles suitable for royal or related facilities, along with lotus and Sanskrit marked tiles used in temples. In 1495, the tomb site of Gwangpyung Prince (1425-1444) was relocated to the Seonneung site, and a Bunam for the Gwangpyung Prince family was erected, serving for at least a century. Between the early 17th century and 1728, the site was known as Bongheon Temple, later dedicated to Jopo Temple, responsible for managing Heonneung. The temple's nature shifted from a private family temple (Bunam) to a tomb management temple (Jopo). Despite maintaining its reputation until at least 1872, Bongheon Temple eventually closed due to a lack of economic suppo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산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