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군기지 주변 지역의 변화와 마을 주민들의 공동체적 대응과 실천―의정부 가능동과 고산동 빼벌마을을 중심으로― (Changes in the region around the U.S. military base and community response and practice of villagers―Focused on Gaejeong-dong and Gosan-dong Pebeol Village in Uijeongbu-)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2.08
44P 미리보기
미군기지 주변 지역의 변화와 마을 주민들의 공동체적 대응과 실천―의정부 가능동과 고산동 빼벌마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96호 / 455 ~ 498페이지
    · 저자명 : 김태우

    초록

    이 연구에서는 의정부시 가능동과 고산동 빼벌마을을 중심으로 미군기지 인근 마을 주민들의 역동적인 삶의 변화와 변화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하고 적극적인 실천의 양상을 살펴 보았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능동에는 1953년부터 미군기지가 들어서면서 평범했던 농촌 마을이 기지촌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1960년대 후반에 이미 부대 앞에서부터 삼거리까지 집들이 밀집되었고 1970년대에는 상가거리가 형성되었다. 빼벌은 원래 2-4채 정도의 집만 있었던 곳이었지만 1953년부터 인근에 미군기지가 들어서자 다양한 사람들이 몰려들면서 마을이 확장되기 시작했다.
    다음으로, 미군기지가 자리를 잡고 미군들이나 부대를 상대로 한 경제적 활동이 늘어나자 상권이 번성하고 생업에도 변화가 생겼다. 미군을 상대로 한 클럽나 상점, 음식점, 양복점뿐만 아니라 클럽에 종사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미용실, 방 임대업 등도 늘어났다. 대부분의 남자들은 미군기지 내에서 경비, 세탁, 요리사 등 노무자 생활을 했다. 이러한 경제적 호황에 힘입어 가능동과 빼벌은 이웃한 다른 마을에 비해 부자 마을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무엇보다 클럽과 클럽 여성들이 집중되어 있다 보니 자연스럽게 ‘기지촌’으로 인식될 수밖에 없었다.
    다음으로, 미군기지로 인해 급격하게 마을 혹은 상가거리가 형성되는 와중에도 나름대로의 공동체 문화가 형성되었다. 특히 빼벌에서는 부녀회와 청년회를 중심으로 한 노래자랑 행사는 인근 마을주민들까지 참여했고 50여 년간 지속되었는데 이는 당시 빼벌 마을 주민들간의 공동체성과 협력적 관계를 잘 알게 해주는 사례이다. 가능동의 경우는 1960년 전후 부역이나 야경 활동 등이 있었고 본토박이 2세들로 구성된 ‘구군단친목회’나 상인들의 친목 모임인 ‘홍운회’ 등이 지속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2018년에 가능동과 빼벌에 있었던 미군기지가 폐쇄되면서 이들 마을의 경제는 급격하게 경색되기 시작하였다. 현재까지 남아 있는 주민들은 지역의 재생과 활력을 되찾기 위해 다양한 문화적 실천을 전개하고 있다. 빼벌의 경우는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20여 년간 지속된 토지 분쟁을 극복하고 주민들은 도시 재생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가능동의 경우도 여러 주민 자치 단체들이 협력하여 마을만들기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미군기지 주변 마을들은 과거 ‘기지촌’으로 통칭되면서 일률적이면서 단편적인 장소성을 부여받았고 이러한 기지촌이라는 장소성으로 인해 실제 ‘기지촌’의 주민들이 수행했던 다양한 실천과 문화적 활동, 공동체 조직 등이 간과되었다. 그러나 이 지역의 주민들은 나름의 공동체 조직과 문화를 생성, 지속하고 있었고 미군기지의 이전으로 인한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다양한 실천을 통해 마을을 재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the dynamic changes in life of villagers near the US military base, centered on Ganeung-dong and Gosan-dong Pebeol village, Uijeongbu-si, and variety of practices to respond to the changed environment were examined. The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US military base was built in Ganeung-dong in 1953, an ordinary rural village began to transform into a base village. In the late 1960s, houses were already concentrated from the front of the unit to the three-way intersection, and in the 1970s, a shopping street was formed. In the case of Pebeol, there were originally only 2-4 houses, but when a US military base was built nearby in 1953, various people flocked to the village and the village began to expand.
    Next, as U.S. bases were established and economic activities against U.S. soldiers and units increased, business districts flourished and their livelihoods changed. The number of clubs, shops, restaurants, and tailor shops targeting the US military, as well as hairdressing salons and room rentals for women working in clubs, increased.
    Next, a community culture of its own was formed in the midst of a sudden formation of villages or shopping streets due to the US military base. In particular, in Pebeol Village, the singing contest centered on the women's association and youth association was held by the nearby villagers as well and lasted for over 50 years, which is a good example of the community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villagers at that time. In the case of Ganeung-dong, it seems that around 1960, side areas and night-time activities played a role in strengthening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Finally, in 2018, as the US military bases in Gajeong-dong and Pebeol were closed, the economy of these villages began to sharply tighten. Most of the shops have closed and they have left the village, but the residents who remain today are developing various cultural practices to revitalize and revitalize the area.
    In the past, the villages around the US military base we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ilitary campsidetown' and were given a uniform and fragmented sense of placeness.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residents of this area have created and maintained their own community organization and culture, and are actively responding to the crisis caused by the relocation of the US base and are trying to revitalize the village through various practi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