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서구권 동시대 미술의 동시대성과 샤르자비엔날레(2023): ‘현재에 대한 역사적 사유’ 혹은 ‘역사에 대한 현재의 재 정치화’ (Contemporaneity of Contemporary Non-Western Art and Sharjah Biennial(2023) : ‘Thinking Historically the Present’ or ‘Re-politicizing History in the Present’)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3.12
31P 미리보기
비서구권 동시대 미술의 동시대성과 샤르자비엔날레(2023): ‘현재에 대한 역사적 사유’ 혹은 ‘역사에 대한 현재의 재 정치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46호 / 145 ~ 175페이지
    · 저자명 : 장선희

    초록

    2008년부터 2013년 무렵, 서구 학계에서는 ‘동시대 미술’과 ‘동시대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됐다. 이는 동구권이 붕괴되고 세계화가 가속화한 후 약 10년이 지난 때이다. 테리 스미스를 필두로 리차드 메이어, 알렉산더 둠바제와 수잔 허드슨 등의 미술사학자는 동시대 미술의 붐으로 인한 현장과 학계의 변화를 다루는 연구서를 발간했다. 2011년 『뉴욕타임즈』는 미국의 미술사학과 대학원생 중 약 80퍼센트가 동시대 미술을 전공한다는 기사를 발표했고, 『옥토버』와 『이플럭스』 편집부도 이러한 현상을 특집으로 다루었다.
    그렇다면 서구 학계에서는 동시대 미술을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스미스와 메이어는 ‘다중적 시간성의 공존’을 동시대 미술의 핵심적 속성으로 바라보았고, 철학자 보리스 그로이스와 안토니오 네그리는 모던 아트와 포스트모던 아트, 또 모더니티와 포스트모더니티를 재고하며 동시대 미술을 재 정치화할 희망을 찾았다. 이러한 다양한 논의는 1990년대에 확산한 후기 식민주의 이론과 함께 비서구권 미술과 토착 미술로까지 이어졌다. 이에 오쿠이 엔위저는 지정학적 특수성과 서구 모더니즘의 유산을 고려하며 ‘후기식민적 성좌’ 개념을 바탕으로 비서구권 동시대 미술 비평과 전시기획에 앞장섰다. 비서구권 미술에 대표성을 갖고 발언했던 엔위저의 활동은 약 15년이 지난 지금까지 비서구권 여러 지역 미술의 이론과 실천에 영향을 주고 있는데, 올해 2023년 열린 샤르자비엔날레가 그 예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구 학계에서 동시대 미술과 동시대성이 활발하게 논의되었던 당시 상황을 살펴보고, ‘다중적 시간성의 공존’이 비서구권 미술과 교차하는 지점을 ‘후기식민적 성좌’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이후, 이 개념이 올해 샤르자비엔날레에서 어떻게 실현되었는지 전시기획 방식과 작품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본 연구는 동시대 미술을 당대의 세계화된 미술이라고 할 때, 이에 대한 지식을 생산하고 전달하는 것의 의미, 또 동시대 미술의 이질적인 풍요로움을 불모의 동질성으로 축소시키지 않을 연구방법론과 교수법의 고찰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From 2008 to 2013, the Western academic society actively discussed ‘contemporary art’ and ‘contemporaneity.’ It was 10 years after the Berlin Wall and the former Soviet Union were dispersed and globalization was expanded. Art historians such as Terry Smith, Richard Meyer, and Alexander Dumbadze and Suzanne Hudson published the books that dealt with transformations of art and academia influenced by boom of contemporary art. In 2011, New York Times reported around eighty percent of graduate students in art history were selecting contemporary art for their major in the US. In addition, academic journal October and art magazine e-flux featured such a trend and change in art history.
    Then, how did the Western academic society define and characterize contemporary art? Smith and Meyer focused on the ‘co-existence of multiple temporalities’ as a core of contemporary art. Philosophers Boris Groys and Antonio Negri sought for a hope to re-politicize contemporary art reflecting modern and postmodern discourses. Their discussions on contemporary art were extended into art of Asia, Africa, the Middle East, and indigenous communities with the aid of postcolonial theories. Okwui Enwezor, a representative art critic and curator for Non-Western art, coined the term ‘postcolonial constellation’ to explain how contemporary art of Non-Western regions were refracted by geopolitical configuration and the legacy of European modernism. His criticism and exhibitions have influenced on art practices and theories until now, and the 15th Sharjah Biennial(2023) is one of the cases.
    Thus, this research examines the situation at the time when the Western academic society began discussing contemporaneity of contemporary art. Then this research demonstrates how two concepts, ‘co-existence of multiple temporalities’ and ‘postcolonial constellation’ are intersected in the 15th Sharjah Biennial by analyzing curatorial strategies and presented works. In doing so, this research suggests the following agendas to consider art history: (1) If we call contemporary art as globalized art of the day, what does it mean to produce and deliver knowledge of such art? (2) What is the research and teaching methodology, which does not reduce fertile heterogeneity of contemporary art into barren homogene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