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주 반죽동 추정 대통사지 발굴조사 내용과 성과 (The contents and performance of the excavation survey of assumed Daetongsa temple sites at Banjukdong, Kongju)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9.02
26P 미리보기
공주 반죽동 추정 대통사지 발굴조사 내용과 성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60호 / 5 ~ 30페이지
    · 저자명 : 조원창

    초록

    공주시 반죽동 197-4번지 유적은 2018년 1월 15일부터 53일간에 걸쳐 발굴조사가 진행되었다. 해당 지역의 남동쪽으로 약 150m 떨어진 지점에는 통일신라시대로 추정되는 당간지주가 자리하고 있고, 동쪽으로 130m 떨어져서는 금강의 지류인 제민천이 남에서 북으로 흐르고 있다.
    조사지역은 한옥 신축사업과 관련하여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결과 구지표면으로 추정되는 4개의 층위가 검출되었고, 이 중 Ⅴ층은 해발 19.8~20.1m로서 백제 웅진기에 조성된 대지조성토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18.0~19.8m까지는 모래층이 조사되었고, 그 아래층은 암반층으로 확인되었다.
    각 층위에서는 백제시대 유물이 다양하게 출토되었다. ‘대통’명으로 보이는 인각와를 비롯해 지두문 암막새, 유단식 암막새, 연화문 수막새, 연목와, 부연와, 소조상, 치미 등이 수습되었다. 특히 이들 유물은 중국 남조에서도 살필 수 있어 당시 백제와 중국과의 대외교섭이 밀접하게 이루어졌음을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대통이 중국 남조 양나라 황제였던 무제의 연호라는 점에서 이들 유물이 대통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을 파악케 되었다.
    한편, 지두문 암막새의 등면에서는 1조의 붉은 횡선이 확인되었다. 이는 연함이라는 목부재를 단청하는 과정에서 묻어난 것으로 당시 대통사의 위상을 살피게 한다. 특히 이러한 형적이 그 동안 왕성으로 추정된 공산성에서도 검출된 바 없다는 점에서 대통사의 화려함과 장엄성을 엿볼 수 있다.
    다만, 금번 발굴조사가 204㎡라는 아주 제한적인 면적, 그리고 폐와무지가 주변지역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많은 아쉬움이 있다. 향후 주변지역에 대한 전면 발굴조사를 통해 문헌상의 대통사가 현실 세계에서 발현되기를 기원해 본다.

    영어초록

    Excavation surveys were conducted for 53 days from January 15, 2018 for the relics at 197-4 Banjuk-dong, Gongju-si. At about 150m southeast of the area, there is a Flagpole Support, which is estimated to be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130 meters eastward, the Gemin Stream, a tributary of the Geum River, flows from south to north.
    Excavation surveys were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the new construction of the Hanok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The results showed that four soil layers were detected, which are estimated to be surfaces, and the lowest layer of the V layer was 19.8 to 20.1 meters above sea level, which was identified as the site built during the Baekje Woongjin period. And sand layers were formed from 18.0 to 19.8m, and the lower layer was identified as rock layers.
    On each floor, various Baekje relics were excavated. Roof tile with character written as “Daetong”, Concave Roof-end tile with Finger-tip Design, Female roof-end tile, Male roof-end tile, Rafter roof tile, Rafter-end tile, Clay Buddha Finial, and Ridge-end tile were excavated.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Daetong is the era name of the Wu-Ti, Emperor of the Liang Dynasty of China makes it clear that these remain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Daetongsa Temple.
    However, there is a great deal of regret in that the excavation survey is very limited to 204 square meters, and tile dump is expanding to the surrounding area.
    I hope that the Daetongsa temple in the literature will be manifested in the real world through a full excavation survey on the surrounding area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