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울산의 청동기시대 취락과 창평동 환호 유적 (The Bronze Age Settlement in Ulsan and the Changpyeong-dong sit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8.12
29P 미리보기
울산의 청동기시대 취락과 창평동 환호 유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58호 / 279 ~ 307페이지
    · 저자명 : 손준호

    초록

    창평동 환호 유적은 울산광역시 창평동 일대에 위치한다. 총 3개 지점 중 청동기시대의 유구는 대부분 A구역에서 확인되었다. 다른 지점의 유구로는 B구역에서 조사된 주거지 1기가 유일하다. A구역은 동-서 방향으로 뻗은 구릉의 아래쪽 끝자락에 해당하는데, 그 앞으로 비교적 넓은 평지가 펼쳐져 있다. 조사된 청동기시대의 유구는 평면 타원형의 환호와 함께 주거지 3기, 소형 수혈유구 35기 등이다. 주거지 1기를 제외하면 나머지 유구들은 모두 환호 내부 공간에 자리하며 유구 사이의 중복 축조도 없다. 환호는 거의 완전한 형태를 이루는데, 특히 내부 공간에 분포하는 수혈유구들이 환호의 성격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서 주목된다.
    유구와 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 유적의 시기는 청동기시대 후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형적인 울산식 주거지와 환호의 존재, 낟알문과 꼭지형 파수부 토기, 일단병식 석검, 삼각형에 가까운 개량형 석도, 횡단면 타원형의 합인석부, 유구석부와 발전형 편평편인석부, 단추형․원통형․구슬형의 토제 어망추 등은 모두 후기를 나타내는 표지 형식들이다. 한편, 유적의 성격에 대해서는 환호 내부 공간에 소수의 주거지와 다수의 수혈유구가 분포하는 점, 유물의 의도적 훼손과 비정상적 폐기 과정, 불과 관련된 행위의 존재 등을 볼 때 의례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주변에서 잘 보이는 돌출된 구릉에 위치하는 점을 감안하면 여러 취락의 공동 제의 공간으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가시권에 포함된 주변 유적과의 복합체를 한 단위의 거점 취락으로 상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어초록

    The Changpyeong-dong enclosure site is located in the Ulsan city. Most of the archaeological features were excavated in the location A, one of the three areas of the excavation. Only one dwelling pit was found other than in location A; the dwelling pit found in the location B. The location A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hill running east to west, facing relatively large flat plain. The excavated features consist of an oval shaped enclosure, three dwelling pits, 35 small pits and others. Except one dwelling pit, every features are located inside the enclosure, without any overlapping. The enclosure is almost intact and has importanc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nclosure ditch and small pits insid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archaeological features and artefacts, the time period of this site is revealed to be the Late Bronze Age. Typical Ulsan-style dwelling pits and the existence of enclosure, pressing patterns and knob-shaped handles on pottery, straight hilted stone daggers, triangle like shaped harvesting stone knives, stone axes with oval shaped cross section and grooved stone adzes, developed type stone adzes as well as various type of clay net sinker are all considered to belong to this period. This site seems to be related to some ritual behaviour, based on the fact that only two houses were built inside the enclosure whereas much more small pits were dug, or intentionally deposited artefacts as well as the trace of fire using.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site which enable the residents look around the landscape widely, this site was a core of the wider networks of several settlements in this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