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펑즈카이 만화의 동서양미술 수용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spect to the Adoption of Eastern and Western Paintings in Fengzikai’s Cartoon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3.12
25P 미리보기
펑즈카이 만화의 동서양미술 수용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23호 / 421 ~ 445페이지
    · 저자명 : 채영

    초록

    펑즈카이(豊子愷/1895-1975)는 소시민의 생활상을 특유의 담담한 미감(美感)으로 표현한 중국 근현대 문학가이자 미술가, 만화가이다. 그 중 그의 만화는 중국의 전통화론과 서양화의 구도와 기법을 혼용하여 창작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때문에 펑즈카이의 만화를 통해 동서양 미술의 수용양상, 즉 동서양의 화론과 시각체제가 어떠한 방식으로 계승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고를 위해 국내외에서 선행된 펑즈카이 연구에 대해 살펴본 결과 펑즈카이 만화에는 중국의 전통화론인 시서화일률 사상이 자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펑즈카이의 초기 만화부터 중기의 개인 만화집 그리고 말년 작업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양상은 펑즈카이 만화에 일관되게 나타났다. 그리고 1937년 중일전쟁을 기점으로 펑즈카이는 강서지방의 산수를 접하며 중국 전통 산수화풍의 만화 또한 시도하게 된다. 한편 펑즈카이는 일본 유학시기를 거치며 적극적인 서양미술의 수용자가 된다. 귀국 후 그는 밀레나 반 고흐와 같은 서양화가를 중국에 소개하면서 자신의 만화창작에도 이들 작품의 구도를 차용, 서양화기법과 양식을 실험하기에 이른다. 펑즈카이 만화는 동서양의 미술론과 화법을 수용하는데 있어, 이를 조형적으로 실험하였을 뿐 아니라 이를 뒷받침하는 화론 역시 갖추고 있었다. 서구에 비해 짧은 근대기를 거친 동양은 여전히 동서양 문화의 융합 속에서 전통의 복원과 확장에 대한 고민을 진행 중이다. 펑즈카이 만화창작에 대한 연구는 같은 숙제를 안고 있는 우리 시대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어초록

    This thesis studied Fengzikai’s cartoon in the early 20C society of China where the wave of reform and opening doors let in the mixture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altogether. Fengzikai lived in the era of turbulence as the main player and executor of and anti-feudalism, anti-imperialism and enlightening movement through new cultural aspects and ideas from the West after Chinese Revolution and 5.4 New Cultural Movement in China. Fengzikai agonized over reform and proper ways forward for Chinese paintings as a creator in the era of cultural transformation of China. As a result, Fengzikai came to look at cartoon or comics as a good media equipped with both the metaphoric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Chinese paintings and reproductive and practical aspects of Western paintings. Fengzikai was fully committed to cartoonish expressions and cartoonish creation forms because he himself was, first, a writer but more fundamentally because he thought, as an art creator, it was the calling of the era that he converged and experimented Chinese and Western paintings together. In this context, Fengzikai’s cartoons showed diverse eastern and western ideas and art expressions in various forms in its subjects, materials and expression methods from the 1920s to 1949 when the Republic of China was established.
    Fengzikai’s cartoon reveals dynamic aspects as an acceptor of eastern and western art forms. During the China-Japan War in 1937, he was left his home for Gangseo region to naturally experience China’s mountains and waters. Based on this experience, he created a new style in his cartoon by introducing landscape based on traditional Chinese landscape painting style as called as landscape cartoon that reminds people of the grand mountains and rivers during the era of North Song Dynasty. Fengzikai went Japan to study and became a mover progressive acceptor of Western paintings. His experience of meeting Western painters and art works served as a motivation for him to publish diverse books on general aspects of Western art. And further on, he applied western styles to his own cartoons to experiment western techniques and forms. Good examples are Van Gogh or Millet. He borrowed Millet and Gogh’s structure and expression methods for his cartoon. He introduced Millet or Gogh for a motif for his cartoon works because he though these western painters had many similarities with China’s painters who were also scholars. As such, Fengzikai’s cartoons show the combination of eastern painting style that present letters, poem and picture together in one page and western style structure and expression forms at the same time. This is why we regard Fengzikai cartoons as an acceptor of eastern and western paintings as well as the work of comprehensive combination of writing and painting. Fengzikai cartoon art adopted benefits of east and west and managed them well in the formative aspect. Moreover, his work is well supported by own painting philosophy. Eastern culture, which underwent a relatively shorter period of modernization than the west, is still in agony over the restoration and expansion of tradition amid the broader cultural convergence. Subsequent studies are expected to look more into the implications of Fengzikai cartoons and idea on this present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