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동아시아 사조(思潮)와 만해의 개혁사상 (A Study of Manhae’s Buddhist Reform and Modern East Asia thought)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4.06
36P 미리보기
근대 동아시아 사조(思潮)와 만해의 개혁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16호 / 75 ~ 110페이지
    · 저자명 : 한상길

    초록

    이 글은 근대 사조와 만해와의 관계를 이해하는 한 방법으로서 비교라는 키워드를 설정하였다. 한 인물을 이해하는데 있어 타인과의 공통점과 차이점 등을 비교 고찰하는 연구는 그 인물의 가치와 본질을 보다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다. 기왕의 연구성과 가운데 만해와 동시대의 사상가, 혁명가 등과의 비교를 통한 연구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먼저 근대를 풍미했던 당시의 사조(思潮)를 만해가 어떻게 수용하고 체화(體化)시켰는가를 살펴본다. 이어 만해를 비교 연구의 시각으로 조명한 여러 연구를 일별하여 근대 동아시아에서 만해가 지니는 개혁의 가치와 역사적 위상을 다시 한 번 되새기고자 하였다.
    만해의 근대 사조 수용은 일찍부터 시작되었다. 1910년『조선불교유신론』을 집필하면서 양계초의 저술을 참조하였지만, 그의 세계와 서양 철학, 문명에 대한 갈망은 오래 전부터 태동하였다. 만해는 근대 사조와 문명을 수용하면서 철저한 분석적, 비판적 태도를 견지하였다. 양계초 등의 서책에서 단편적으로 습득하였지만 만해는 이를 철저히 자기화, 체화시키며 불교개혁의 이론적 틀을 형성시켰다. 동아시아 속에서 만해의 위상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여 여러 인물들과의 비교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동인, 중국의 태허와 노신, 일본의 세노오 기로, 스리랑카의 다르마팔라 등이다. 이들은 한결같은 시대적 공통점을 지닌다. 즉 제국주의와 자본주의 등 외부로부터의 침탈과 불교의 쇠퇴이다. 안으로는 중세적 나태와 안일에 움크리고 있는 불교를 개혁하여 새로운 근대종교로의 탈바꿈을 시도하였다. 밖으로는 이를 토대로 외부의 침탈에 맞서 민족의 주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헌신하였다는 점이다. 만해가 외친 불교 개혁과 민족 독립은 이처럼 우리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아시아의 근대사를 관통하는 커다란 물줄기였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rn thought and Manhae as a way to understand the comparison was to set up a keyword search. There is one person with others to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comparative study and research is the nature and value of the person can be exposed more clearly.
    Buddhism in Korea as Manhae aspiring character trait is rare. Such as research and writing about him beyond the fact that the 1000 side tells it well. At the end of the Middle Ages to the modern era of upheaval lived in fulfilling his life and history, literature and philosophy, practice and exercise is an important history soon as we look at recent history because it is a reference point. Research results with retrospective Manhae among contemporary thinkers, revolutionaries through comparison of such studies will be considered. First, how he was in modern thought did accept and apply examined. Acceptance of his early modern history began. 1910, while the author of Joseon Bulgyo Yusillon see the writings of Liang Qichao, but his world and Western philosophy, has long been a desire for civilization began. While accommodating modern thought and civilization that he thoroughly analytical, critical attitude was standpoint. His stature in East Asia as a way of understanding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to the comparative study of various figures and discussed.
    Manhae and Lee Dong In, Anagarika Dharmapala, Lu Xun, Taeheo jininda are invariably common era. That is capitalism, imperialism and invasion from the outside and the decline of Buddhism. Go inside the medieval stagnation and complacency of modern Buddhism as a religion of the new reform was attempted transformed. and against the invasion of the outside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nation. His claimed the Buddhist reform and national independence, rather than being confined to our modern history of Asia was through the great stre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