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道東書院과 寒岡學의 전개 (Dodongseowon and Hanganghak’s Developme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4.12
27P 미리보기
道東書院과 寒岡學의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57호 / 7 ~ 33페이지
    · 저자명 : 김기주

    초록

    이 논문은 한강학을 중심으로 한 낙중학의 전개에 있어서 도동서원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도동서원이 세워지고 중건되는 과정, 그리고 서원에 제향되고 있는 인물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이 서원이 낙중학, 그 가운데서도 한강학의 성립·전개·확산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 1604년 도동서원이 중건되는 과정에서 정구의 적극적인 노력은 돋보이며, 그가 도동서원의 중건에 그토록 심혈을 기울였던 것은 당시의 역사적인 상황과 함께 퇴계학과 남명학을 동시에 계승한 자신이 영남의 맹주임을 자부한 영남맹주의식의 표현이자, 그것을 실천하기 위한 지역적 토대를 구축하려는 의도로 이해된다. 정구는 도동서원을 통해서 한강학의 지역적 거점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진외증조부인 김굉필의 영향력을 통해 그것을 강화하고 공고히 하려는 의도를 가졌던 것이다.
    그리고 도동서원의 인적 활동과 관련된 자료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동서원이 중건된 후 약 300년 동안 낙중 지역의 주요한 서원으로 교육과 학문의 중심으로 작용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한강학의 전개라는 측면에 한정해서 볼 때, 도동서원의 영향력은 18세기 초반을 정점으로 뚜렷하게 변화하기 시작하였다는 점도 분명하게 확인된다. 결국 천곡서원-도동서원-안동부사-봉산욕행으로 이어지는 정구의 행보와 그것을 통해 추구된 한강학의 영향력은 최소한 18세기 초반까지 낙중 지역에서 확대되거나 유지되며 전승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roles of Dodongseowon in the development of Nakjunghak centering around Hanganghak. By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Dodongseowon’s building and rebuilding and figures for whom sacrificial rites are being held at the seowon, the current study has learned that this seow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establishment,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Nakjunghak, especially Hanganghak. In the process of rebuilding Dodongseowon in 1604, Jeong Gu’s utmost effort is very noticeable. The fact that he made such efforts for rebuilding Dodongseowon can be understood as his expression of proud consciousness about himself as Yeongnam’s leader succeeding to not only the historical situation then but Toegyehak and Nammyeonghak as well and also his intention to lay the regional ground to practice it. Jeong Gu did have intention to build a foothold in the region for Hanganghak through Dodongseowon and also strengthen and solidify it with the influence of Kim Goengpil, his maternal great-grandfather.
    And with analysis on materials dealing with personal activities in Dodong Seowon, the study has found that Dodongseowon did function as the center of educational and academic activities as a major seowon in Nakjung area for about 300 years after it was rebuilt. But looking solely into the aspects of Hanganghak’s development, it is obvious that Dodongseowon’s influence began to change noticeably in the early 18th century as a peak. In conclusion, we can understand that Jeong Gu’s walk of life leading to Cheongokseowon-Dodongseowon-Andong Busa-Bongsan Yokhaeng and the influence of Hanganghak pursued by it were either extended or maintained in this area up to the early 18th century at least and transmit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