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童土 尹舜擧의 詩文學 硏究 (A Study on Dongto Yun, soon-geo’s Poetic Litera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1.02
50P 미리보기
童土 尹舜擧의 詩文學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58권 / 39 ~ 88페이지
    · 저자명 : 이송희

    초록

    본고는 17세기 기호사림학자로서 충남 노성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동토 윤순거(1596~1668)의 시문학을 분석하여 삶의 제 양상들이 문학적으로 어떻게 형상화 되었는지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윤순거는 기호사림학자들과 더불어 당대를 풍미했던 걸출한 인물로 절의와 학문으로 세상에 이름이 높았다. 윤순거는 병자호란 때 척화신으로 부친이 유배되고 강화도에서 중부 윤전이 순절하자 종제인 윤원거와 함께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는 향리에 은거하며 노성 파평윤씨가의 학문적 기틀을 마련하였다. 실심과 무실의 학문을 삶속에서 실천하여 종회와 종학당을 설치하고 종약을 제정하여 형제들과 우애를 돈독히 하고 학문을 강론하였다. 윤순거는 형제, 자질과 문학으로 소통하고 사우와 지기로 교유하였다. 이때 창작된 수창시들을 통해 혼란한 시대에 대한 윤순거의 상황 인식과 처세, 그에 따른 현실 대응 의식이 어떻게 발현되었는지 살필 수 있다. 윤순거는 50세가 되어 대군사부를 시작으로 출사하였다. 그는 안빈낙도의 출처관을 견지하여 현달하지는 않았으나 처해진 환경에서 자신이 추구하는 학문을 현실에 적용하였다. 군현을 다스릴 때 지은 시들에는 충성과 절의를 표양하고자 하는 의식이 표출되어 있다. 세도가 떨어지고 풍속이 야박해진 세상을 절의의 추숭을 통해 백성들이 교화되어 덕이 후한 곳으로 돌아가길 희망하였다. 의춘현에서는 남효온과 이황의 사우를 건립하고 예법대로 제사하였으며 향사례를 베풀었다. 금구현에서는 『간양록』의 간행으로 강항의 절개를 세상에 드러내었다. 영월군에서는 단종과 제신들의 충절과 의리를 기리기 위해 『노릉지』를 편정하고 지덕암을 중수하였으며, 비루해진 풍속을 바로잡기 위해 향음주례를 실시하였다. 윤순거의 시작품은 모두 674수인데 상당수가 기행시에 해당된다. 그는 평생 산수에 뜻을 두었는데, 유람의 감회를 간결하고 담박하게 표현하였다. 윤순거의 기행시에는 시기별로 산수의 감회가 달라짐을 볼 수 있다. 금강산과 관동지방을 유람하고 지은 시에서 윤순거의 문학적 감수성과 함축미, 예술적인 심미성을 느낄 수 있다. 그는 도학자, 예학자로 평가되는 기호사림학자로서 문학을 위한 글쓰기를 즐겨하지 않았으나 실천적인 삶을 노래한 시인으로서, 당대 현실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식 등을 시문학에 충실히 구현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oetic literature of Dongto Yoon Soon-geo (1596-1668), a 17th-century Confucianist of the Giho area who worked mainly in the Noseong region of Chungcheongnam-do, to find out how aspects of his life were represented literaryly. Yoon Soon-geo, along with Confucianists of the Giho area, was known to the world for his integrity and scholarship as an outstanding figure who enjoyed the time. Yoon Soon-geo returned to his hometown with his cousin, Yoon Won-geo, when his father was exiled as Cheokhwasin during the Byeongja War and his uncle died in Ganghwado. He stayed in hometown and laid the the academic foundation of the Noseong Papyeong Yun Clan. By practicing the learning of authenticity and endeavo in life, he strengthened friendship with brothers by establishing a clan meeting and a clan school, and enacting a clan code, and lectured his studies. Yoon Soon-geo communicated with his brothers, sons and nephews through literature and interacted with teachers and freiends as appreciative friends. We can see Yoon Soon-geo’s perception of the situation of the chaotic era and how his sense of response to reality were expressed through poems created at that time. Yoon Soon-geo took public office as Daegunsabu at the age of 50. He didn’t attain distincion maintaining the political view of AnbinNakdo, but applied the studies he pursued to reality in the given environment. The poems written during his rule of counties expressed a sense of loyalty and devotion. This was intended to enlighten the people in the world, where morals had fallen and the customs had become vulgar, through the pursuit of integrity, and to lead them to return to a place of virtue. In Uichun-hyeon, he established Nam Hyo-on and Yi Hwang’s shrine, held rituals according to the etiquette, and performed Hyangsarae. In Geumguhyeon, he revealed the integrity of Ganghang to the world by publicating 『Ganyangrok』. In Yeongwol-gun, he arranged 『Norungji』 and reconstructed Jideokam to commemorate the loyalty and fidelity of King Danjong and his followers, and performed Hayngeumjurae to correct the corrupt customs. Yoon Soon-geo’s poetry works are 674 pieces in total, many of which are travel poetry. All his life, he showed interest in scenary, expressing the emotions of traveling in a simple way. His travel poetry shows his emotions about scenary vary by time. You can feel Yoon Soon-geo’s literary sensibility, beauty of implcation and artistic aesthetics in the poems written after touring Mt. Geumgang and Kwandong. As a Confucianist of the Giho area cosidered as a Taoist or a preceptor, he did not enjoy writing for the sake of literature but faithfully embodied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the reality of the time in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