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東華 李海應의 燕行詩 硏究 (A Study on Yeonhaengsi of Donghwa Lee Hae-eu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0.12
32P 미리보기
東華 李海應의 燕行詩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106권 / 159 ~ 190페이지
    · 저자명 : 이송희

    초록

    동화 이해응(1775-1825)은 1803년에 서장관 서장보를 따라 연행을 하고 견문기록으로 『계산기정』을 남겼다. 『계산기정』은 다른 연행록과 달리 권1에서 권4까지 견문과 체험을 445수의 한시로 포착하였다. 그러나 그간의 연구들에서는 북경에서의 체험이나 견문에 대한 연희시와 관희시, 문화와 문인들과의 교류 등 지식과 정보에 초점을 맞추어 개인적인 정회와 심정을 표출한 서정적 한시에 대해서는 면밀한 고찰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해응은 쇠락한 가문의 사족으로 관직에 진출하지 못하였으나 해박한 지식과 시적 재능으로 문학적인 자부심이 대단하였다. 그는 연행노정에서 오는 견문과 체험, 객수,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담긴 연행시를 산문과 시의 구성으로 조화롭게 서술하였다. 시인이자 문학가로서 이해응의 면모를 살피기 위해 연행시를 壯遊의 시적 흥취, 懷古의 感慨, 對淸의식의 形象化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장유의 시적 흥취에서는 요동벌판과 연행노정에서 오는 기상과 설렘, 번민 등을 시적 흥취로 승화하였다.
    회고의 감개에서는 연행노정에서 마주한 역사유적지에서 지명의 유래, 관련 고사를 시적재료로 활용하여 간결하게 형상화하였다. 송도를 지나며 고려의 성과 못, 누대 등을 둘러보고 영고성쇠의 역사를 회고하였다. 임·병양란과 관련된 유적지에서는 관련 인물들의 고사와 후세사람들이 보인 반응을 그렸고 대릉하를 지날 때는 영령들의 넋을 달래주기도 하였다.
    대청의식의 형상화에서는 청나라에 대한 이해응의 내면 의식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살폈다. 그는 청나라가 들어서자 중국의 문화와 풍습이 비루하게 변하였음을 예악과 의관, 백성들의 풍속 등을 들어 우리나라와 대조하고 불편한 속내를 드러내었다. 한편 은근히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청에 대한 반감으로 조공 바치는 사신이 된 자신을 전횡과 백이ㆍ숙제의 절의를 들어 부끄럽다고 표현하였다.

    영어초록

    In 1803, Donghwa Lee Hae-eung(1775-1825) traveled Yanjing following Seojangguan Seo Jeong-bo and left a record of his visit, 『Gyesangijeong』. Unlike other Yeonghaengrok(Yanjing Travelogue), 『Gyesangijeong』 captured his visits and experiences in 445 Chinese poems from Volume 1 to Volume 4.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knowledge and information such as Yeonhoesi and Gwanhoesi about experiences and visits in Beijing, and exchanges between culture and writers, and little careful consideration has been given to Chinese poems which express personal emotions and feelings.
    Although Lee Hae-eung was unable to enter the government office as a family member of a declining family, he had great literary pride with his extensive knowledge and poetic talent. He balanced Yeonghaengsi(燕行詩) with prose and poetry, which contain the knowledge, experience, nostalgia, and longing for his hometown. To examine Lee Hae-eung's aspect as a poet and writer, this study examined his poems by dividing them into the poetic excitement of great travel, the nostalgic feelings, and the manifestation of consciousness against Qing Dynasty. In the poetic excitement of great travel, he sublimated high spirits, excitement, and anxiety from the fields of Yodong and the journey to Yanjing into poetic excitement.
    In the nostalgic feelings, he briefly depicted the origin of geographical names and related ancient history of historical sites encountered on the journey to Yanjing using poetic motifs. Passing through Songdo, he toured Goryeo's castle, ponds and towers, and looked back on the rise and fall of the history. At the historical sites related to the two Manchu Invasions, he depicted old stories of the involved people and the reactions of the future generations, and when passing through the Daereungha, he comforted the souls of the dead.
    In the manifestation of consciousness against Qing Dynasty, it was possible to look into how his inner consciousness of Qing Dynasty was embodied. Upon entering Qing Dynasty, he showed his discomfort about degrading changes in Chinese culture and customs by comparing the traditional music, clothing, and customs of the people with those of Korea, and showed his pride in his own culture. He described himself as ashamed for becoming an envoy to pay tributes to Qing, citing the integrity of Jeon Hoeng, Baek Yi, and Sook J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6 오전